나의 수치심에게 - 힘들면 자꾸 숨고 싶어지는 사람들을 위한 심리학
일자 샌드 지음, 최경은 옮김 / 타인의사유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수치심에게

 

 

유럽인들이 가장 만나고 싶어하는 심리학자 일자 샌드

이 책은 힘든 일이 있을 때 회피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인간은 모두 수치심을 가지고 있고

이 수치심이 건들여 질 경우 우리는 상처받는다.

얼마전 어떤 아이와 대화를 하게되었다.

아직 어린 나이라 자신이 쓰는 글씨가 틀릴수도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자라오면서 대체로 칭찬을 많이 받아서인지

주변 친구들이 자신의 실수에 대해 놀리자 크게 상처받고 말았다.

그리고 그 상처는 생각보다 깊은 듯 보였다.

글씨를 모르는 나이가 맞고

놀리는 아이들 중에서도 글씨를 모르는 아이들이 분명 있었으며

그 아이들이 누구인지 알고 있었을텐데도

자신이 경험하니 매우 큰 충격이나었보다

수치심이란 이런것일까?

우리는 순간순간 수치심을 느끼지만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문제들의 원인이 수치심이라고 통찰하는데는

어렵다. 저자는 수치심은 숨어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자신의 수치심에 대해 말하지 않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이 자신 내면에 숨겨져 있는 수치심을 발견하고

직시할 용기를 얻고 자기 자신을 받아들일 길 바라고 있다.

수치심은 숨어 있다. 자기 자신만 아는 가장 깊은 상처가 바로 수치심이다.

그리고 그 수치심은 불안을 야기시킨다.

그렇다면 우리가 불안감을 느낄 때 생각해볼일이다.

내 안에 어떤 수치심이 있길래 불안감이 느껴지는거지?

저자는 수치심을 촉발시키는 상황들에 대해 말해주고 있다.

바지지퍼를 실수도 올리지 않고 다른사람들이 다 봤을 때,

살이 쪄서 비키니를 못입을 때

거절하지 못했을 때, 다른 사람들은 하지 않은 행동을 나는 했을 때,

기초생활수급자가 됬을 때, 부로로써 아이를 잘 케어하지 못했을 때,

부당한 상황에서 대응하지 못했을 때, 아내에게 좌천됬다는 말을 못할 때,

부부관계에서 이혼을 준비중인데 아무에게도 알리고 싶지 않을 때,

누군가에게 험한말을 들었는데 그때 내가 똑바로 말하지 못했을 때 등

수치심을 경험하게 되는 일은 무척 많았다.

그리고 수치심은 묘하게 죄책감과 닮아있다.

저자는 죄책감과 수치심을 구분해야 한다고 말하며

죄책감과 수치심의 다른 부분을 독자에게 설명해주고 있다.

이 과정을 거치면 내 안에 있는 나도 몰랐던 수치심을 발견할 수 있을 것 같다.

저자는 수치심는 사회적 감정이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경우

사회적 상황에 도움이 되지만 각 사람마다 있는 사회적 센서가 예민할 경우

사소한 일에도 수치심을 느낄 수 있다고 말한다.

내 주변을 봐도 아주 작은 일에도 수치심을 크게 느끼는 사람들이 있다.

결론은 자존감의 문제인 것 같다.

자신을 존중하는 마음. 그러나 그 자존감은 내가 어떻게 양육되었는지도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저자는 미러링에 대해 이야기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수치심을 다룰것인가

저자는 먼저 내가 잘못했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불안에 흔들리지 않는다. 또한 죄책감과 수치심의 차이를 아는 것 역시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내 자신이 나를 공감해 주고 나에게 편지를 쓰는 것 등의 방법을 안내해주고 있다. 이 책에서는 중간중간 사례가 나오고 있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수치심으로 인해 내면에 상처받은 모든 사람들에게 추천할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