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정을 잘라드립니다 - 하버드 교수가 사랑한 이발사의 행복학개론
탈 벤 샤하르 지음, 서유라 옮김 / 청림출판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걱정을 잘라드립니다.

 

 

나는 미용실에 갈 때 마다

미용사가 나에게 말을 거는 것이 불편하고 싫었다.

서서 타인의 머리를 만지며

이런 저런 세상이야기 시답잖은 이야기

시시콜콜한 이야기들을 하는 것이 나에겐 재미있지 않았다.

간혹 내가 머리를 하는 동안

동네 지인이 놀러 라도 오면

온갖 이야기를 하는 통에 머리를 하는 시간이 고역일 때도 있었다.

그래서 나에게는 단골 미용실이 없다.

그저 돌아다니다가 머리를 자를 때가 되면

번화가에 가서 조용히 자르고 올 뿐이다.

그런데 이 책에서

하버드 교수가 단골 이발사를 통해 얻게 되는 삶에 통찰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아마도 행복에 대해 연구하는 학자라서

사람들이 일상을 살아가면서 관찰되는 부분을

보통사람보다 더 유심히 보게 된 것 같다.

이 책을 다 읽고 덮을 때

나도 단골 미용실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 책의 제목처럼 정말 내 머리 속에 있는 걱정을

삭둑 자를 수 있는 가위가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하고 생각해 본다.

이 글을 읽으며 마음이 따뜻해 지는 것을 느꼈다.

그리고 행복이라는 느낌을 계속 느낄 수 있었다.

이발소라는 곳은 외적인 아름다움만을 다룬다고 생각했는데

아비와 같은 사람이 하는 이발소에서는

저자가 말하듯

걱정은 자르고, 인생은 다듬고, 불행은 펴고, 우울은 씻겨줄 것만 같았다.

이 책을 읽는 내내

내게는 아비와 같은 미용사가 왜 없을까? 였으며

2020년에는 아비와 같은 사람을 만나고 싶었다.

혹은 내가 아비와 같은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저자는 아비라는 이용사가 삶에서 자연스럽게 보여주고 있는

행복을 심리학적 근거를 제시하며 이론적으로 설명을 더해주고 있다.

아비라는 사람은 그저 살아가면서 자연적으로 알게된 것인데

사실 그것들이 모두 연구되어 있거나 누군가 이론으로 증명된것들이라는 것이다.

사회심리학자인 누구누구가 한 말은 어렵게 느껴지고 기억나지 않지만

평범한 아비라는 사람이 자신 스스로 터득한 삶에 대해 이야기하면

그것들은 기억에 잘 남는다.

 

화가날 때, 분노할때의 아비는 그 상황을 이렇게 대처했다.

 

방금 내 자지를 가로챈 것이 대형 SUV가 아니라 커다란 젓소였다고 생각하는거에요.”

이러한 아비의 대처에 심리학자 조 토마카의 상황에 대한 관점과 경험의 변화에 대한

실험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아비가 말했다.

저는 일터에 오는게 정말 즐겁답니다. 가게에 나오면

친구들을 만날 수 있고 그들과 대화를 나누다 보면

새로운 지식을 배울 수 있거든요.” <p.84>

 

최근 지인중에 직장에 가는 것을 마치

도살장에 끌려가는 듯 느끼게 하는 사람이 있다.

주일 저녁에 되면 그는 무척 우울해 지고 스트레스를 받았다.

내일 출근이 걱정되기 때문이다.

그가 아비의 말을 듣고 표정을 본다면 어떨까?

또한 나는 어떨까?

나는 아직까지는 아비와 같이 직장이 재미있고 흥미롭다.

가끔 힘들기도 하지만 행복할때가 더 많다.

이 책을 다 읽고

그 친구에게 빌려줘야 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아니 한권 선물해야 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론 2020-01-05 22: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걱정에 대해서 무겁게 생각했었는데 아비라는 인물을 통해 걱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와닿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