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공자
최인호 지음 / 열림원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자의 위대함을 뜨문뜨문 세간에 거론되는 여러가지 얘기들을 통해 수박 겉핧기 식으로 알고 있던차에

다른 이도 아니고 작가 최인호의 글로 공자의 삶과 사상, 그 주변의 사람들에 대해 읽을 수 있어서 행복했다.

우리나라 작가여서 한 번의 번역없이 그대로 읽을 수 있다는 점과 또 여러가지 베스트셀러로 익숙한 그의 글로 공자를 읽을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이력을 살펴보니 수상경력 중에 카톨릭 문학상과 불교 문학상을 받은 점이 이색적이다.

마침 이 책도 병상에서 카톨릭주보에 쓸 글을 준비하다가 갑자기 공자와 맹자에 대한 열정이 다시 타오르기 시작했다고 하니 재미있는 일이 아닌가.

이런 점은 책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공자를 예수와 석가와 비교해서 가감없이 사실을 토대로 설명하는 부분이 시원하다.

시원하다.. 라는 것은 좋다 싫다, 옳고 그름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작가로서 냉철히 비교분석해놓은 부분에 대한 감탄이고 즐거움이다.

물론 그는 공자가 예수와 석가와는 달리 동양권이라 공자와 맹자가 살았던 춘추전국시대가 로마시대보다는 더욱 오늘날의 우리네 현살과 닮아 있음을 느낄 수 있다고 밝힌다. 나 역시 공감하는 부분으로 동양권의 현자인 공자의 가르침을 받아 닮아있는 현실의 어려움에 대한 해답을 얻고 싶었다.

이 책의 분류가 [장편소설] 이어서 놀라고 그 작가가 최인호여서 믿음이 갔으며 두꺼운 책을 단숨에 끊임없이 읽어낼 수 있도록 한 공자의 매력에 빠져들고 말았다. 세계 3대 현인으로 꼽히는 공자, 그 중에서 유일하게 종교로 발전하지 않고 온전히 인간으로 남은 학자, 그의 가르침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퍼져나갔으며 그를 숭상하는 제자들은 시간이 흘러도 변함이 없으니 그는 정말 축복받은 인간이다.

그런 그의 실제 삶은 유복하거나 평탄하지 못했다. 안온한 삶을 살만한 뒷배- 그의 집안은 왕가의 핏줄임에도- 도 없었을 뿐더러 하고자 했던 정치도 벼슬자리 얻기가 힘들어 13년을 비참하게 떠돌아야했고 세상과 타협할만큼 헤이한 비위를 갖지도 못했다. 그런 그가 난세를 굽히지 않고 살아갈 수 있었던 것은 곧은 의지, 높은 학문과 숨기보다는 사람들과 더불어, 사람들 속에서 함께 살고자 했기 때문일 것이다.

공자를 말하며 노자를 빼놓지 않는다. 양대 산맥으로 불리는 두 사상가는 교차점이 있었으나 각기 다른 방향을 추구했고 둘 다 그것을 알고 있었기에 가까이 지낼 수 있없다. 이것은 맹자와 장자로 이어져 두 학파의 대립을 만들고 말았다. 같지 않으면 함께 할 수 없다는 것이 공자와 유학에 대한 신랄한 비판으로 노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이의 무기가 되고 그들이 던지는 비난에 공자의 사람들은 답을 찾아야 했다. 이런 부분을 치우침 없이 설명하고 양 쪽 모두를 글로 이어준 최인호 작가에게 고마움을 보낸다. 여름에 탈고한 작품을 한 달이 채 지나지 않아 읽어볼 수 있다니. 얼마나 감사한 일인지!

막연히 만인이 숭상하는 학자이며 그저 고고하고 신격화된 높은 경지의 전설의 인물이라고만 생각했던 내게 이 책은 공자의 인간적인, 지극히 인간적인 면모를 알려줌으로서 여러 번 미소를 짓게 해주었다. (왠지 삼국지의 '유비'를 보는 기분이랄까.. )내가 '공자'를 읽으며 재미를 느낄 수 있다니!!! ㅎㅎ

지금 이 시점에서 이렇게 새로운 세상을 살짝이나마 맛보게 해준 작가님께 다시 한 번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다.

다음엔 맹자를 읽어봐야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