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이 결혼을 말하다>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심리학이 결혼을 말하다 - 두려움과 설레임 사이에서 길을 찾다
가야마 리카 지음, 이윤정 옮김 / 예문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혼을 할까 말까 고민하지 마십시요. 결혼이 가져다 주는 즐거움만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결혼을 했다고 해서 불행한 것은 아니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심리학이 결혼을 말하다]라는 이 책의 전반적인 논조는 결혼에 대한 문제점과 고민거리를 짚어주고 있습니다. 그렇죠. 결혼으로 함으로써 신경써야 할 부분이 참 많죠. 이 책에서처럼 사회적, 국가적인 문제로 확대하지 않더라도, 결혼이 가져다 주는 변화는 엄청난 것입니다. 특히 여성에 경우에는 더욱 그렇죠. 지금은 남자 집에 들어가 사는 신혼부부가 많지 않지만, 예전엔 시댁에서 어른들로 모시고 시댁 식구들도 다 챙겨야 했으니가요. 여기에 화장실과 처가는 멀아야 좋다는 말이 나올정도로 어쩌다 친정에 가려면 눈치보는 것도 스트레스 받는 일이었죠. 요즘처럼 남편 벌이로만 한 둘인 자녀교육을 제대로 시킬 수 없어 여성마저 일터로 내몰리는 환경에선 여성의 이중고는 더욱 심각합니다. 그렇다고 결혼은 하지말아야 할까요. 결혼은 배척하고 싱글로 자신만의 삶을 살 수 있는 것이 행복할까요. 물론 여성에게 결혼은 남자보다 더 장벽으로 다가오기도 합니다. 국가나 민족의 입장에서 결혼을 하지 않은 여성, 결혼해도 자녀를 낳지 않은 여성은 좋게 보지는 않응 것입니다. 예나 지금이나 국가적 힘의 원천은 국민이고 국민의 수가 절대적인데, 국민의 수가 감소한다고 하면, 문제가 아닐 수 없겠죠. 그래서 국가에서는 결혼을 장려하고 자녀를 둘이상 낳으라고 홍보에 열을 올립니다. 그런데 여성은 이제 사회적, 경제적 활동을 해야 할 입장이고, 결혼을 하게 되면 자녀를 낳아 키워야 하고, 국가는 낳아라고만 하지, 현실적인 혜택이나 도움은 미비하기 짝이 없습니다. 이 책의 저자는 일본에서 겪고있는 결혼에 대한 많은 문제를 상담을 통해 짚어가고 있습니다. 우리의 현실과 상당히 닮았다는 느낌을 받았지만, 결혼에 대해 두려움을 가지고, 하지않는다고 해서 이런 문제점이 해결되리라는 생각은 들지 않네요. 오히려 결혼을 통해 자식도 낳고, 현실적으로 사회적 어려움이 있다면, 이제는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