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 밖에서 듣는 바이오메디컬공학 - 한양대 공대 교수들이 말하는 미래 의공학 기술
임창환 외 지음 / Mid(엠아이디)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니, 이런 것도 바이오메디컬공학이었어?

청진기로 소리를 듣고 목을 들여다보고 피를 뽑아 검사하고 칼로 조직을 절개해 수술하거나 약을 먹는 것이 다였던 의학이 공학을 만나면 어디까지 발전할 수 있을까?

의료와 공학이 만난 바이오메디컬공학이라 하면 병원에서 익숙한 MRI나 CT 같은 장비, 몸에 심는 스텐트나 인공 장기 같은 기술 정도로만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 바이오메디컬공학은 SF영화만큼이나 훌쩍 진화해 있었다. 인간의 뇌와 기계를 연결하는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이나 언제 어디서나 우리 몸의 이상을 감지하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약을 먹지 않고도 치료하는 전자약, 캡슐형 내시경 등에서, 최근 유행이라고 할 만큼 익숙해진 뇌과학을 접목해 뇌에 칩을 심는 일론 머스크의 ‘뉴럴링크’까지, 바이오메디컬공학은 생각보다 훨씬 빨리, 가까이 다가와 있었다

이처럼 다양한 분야에서 엄청난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바이오메디컬공학에 대해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진이 쉽게 전하는 바이오메디컬공학 이야기는 의학과 공학의 흥미진진한 만남을 다양만 사례를 들어 보여준다. 낯선 개념과 용어도 어렵지 않게 소개했다는 점이 큰 장점인 데다, 청소년도 이해하기 쉬울 정도로 쉽고 재미있는 문체도 ‘바이오메디컬공학’이라는 긴 이름의 새로운 학문에 대한 두려움을 단숨에 지워준다.

이 책에서 보여주는 바이오메디컬공학의 다양한 적용 사례들은 사실 이 분야의 역사라고 볼 수 있다. 몸 내부를 들여다보고 싶은 욕망에서 출발한 MRI나 x-레이처럼 공학을 중심으로 에서 출발해 몸을 대체하는 인공 망막이나 인공 근육, 너무나 흥미로운 뇌-기계 인터페이스까지 넘보는 진화는 자못 두려울 정도로 놀랍다. 몸속 세포에서 답을 얻는 마이크로 나노센서 로봇이나 광센서세포를 이용한 표적 치료, 면역 치료제나 DNA 진단기술까지, 생각지도 못한 다양한 분야들이 정말 흥미로웠고, 뇌를 직접 자극해 생각이나 감정을 조절하거나 아예 칩을 박아 조절하는 놀라운 기술은 어디까지 나아갈 수 있을지 앞날이 기대된다.

바이오메디컬공학이라는 이름은 낯설지만, 이 분야에서 이루어낸 성과는 이미 우리 삶 속에 깊숙이 들어와 있었다. 이 분야에서 이뤄낼 미래 의학의 모습이 더욱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