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카인드 - 감춰진 인간 본성에서 찾은 희망의 연대기
뤼트허르 브레흐만 지음, 조현욱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1년 3월
평점 :
품절


뉴스를 보면 인간에게는 전혀 희망이 없다. 아프리카나 미얀마에서, 인종 혐오가 판치는 서양에서, 가까이는 바로 우리 곁에서도 인간이라면 저지를 수 없을 것 같은 끔찍한 범죄가 연이어 일어난다. 그런 뉴스를 매일 보고 있으면, 인간이 '선하다는' 믿음 따위는 파사삭 사그라든다. 지하철에서 밀치는 사람들, 아무렇지 않게 비야냥거리는 동료, 이성적으로 납득시킬 수 없는 요구를 하는 고객들에 치이는 하루를 보내면 '인간은 본래 악한 존재이지만 이성과 시스템으로 가까스로 그 본능을 억제하며 근근히 함께 살아가는 존재'라는 생각이 명확해진다. 홉스는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이라 말하며 권력자에게 우리의 자유를 일임하고 평화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경제학은 바로 이런 이기적인 인간이라는 개념에 근거한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9/11테러나 허리케인 같은 온갖 재난 상황에서도 사람들은 오히려 '먼저 가세요'라고 말하고 위험을 무릅쓰고 타인을 도왔다. 네덜란드의 획기적인 사상가인 저자는 인류의 역사를 훑으며 홉스의 사상에 정면으로 도전한다. 뉴스가 절망적인 소식으로 가득한 이유는 뉴스가 '예외적인 것만 보도하기 때문이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평화로운 날을 왜 보도하겠는가? 사실 우리의 일상은 이런 날들이 대부분이다. 인간의 본성은 선하며, 사회적 시스템이 때로 인간을 악하게 만들 뿐이다. 인간은 타인과 투쟁하지 않고 서로 돕는다.

다소 나이브하게 들리는 이런 주장은 상세한 문헌과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힘을 얻는다. 네안데르탈인에 비해 호모 사피엔스가 살아남은 이유(집단을 이루어 서로 학습하며 발전함)나 이스터섬이나 수용소 실험에 대한 왜곡을 지적하기도 하고, 이런 주장에 대한 가장 강력하고 위험한 질문인 나치에 대한 거론도 피하지 않고 정면승부한다.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나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도, 인간의 악마적 본능을 보여준다는 실험들도 사실은 조작되었음을 밝히는 상세하고 실제적인 실험과 관찰들이 가득하다. 그래서 결국 '인간 본성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은 사실 다원적 무지의 한 형태는 아닐까?'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한발 더 나아가 기대의 힘, 전염되는 신뢰의 힘을 제시한다. 처음에는 비현실적으로 보일지 모르는 이런 주장은 흐름을 과감히 거슬러 '호모 코오퍼런스'라는 협동적인 존재로서의 인간이라는 개념에 힘을 싣는다. 그리고 차별과 혐오를 줄이는 방법으로 역설적으로 '접촉'을 제안한다. 혐오의 대상을 자주 접촉할수록 불신과 위협이 우리 본능에서 줄어든다.

이 책이 전하는 주제는 낯설지만 간명하다. "우리는 적어도 혼자가 아니다. 우리에게는 서로가 있다." 그래서 이 책의 제목은 인간이란 (성차별적으로 보일 수 있는) '맨카인드(인간) man-kind' 대신 '친절한 존재, 휴먼카인드human-kind'라는 점을 설파한다. 우리가 그럼에도, 이 세상에서 살아갈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