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시골 동네 책꾸러기 11
정영애 글, 윤문영 그림 / 계수나무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날씨가 더운 요즘, 선선한 해질 무렵이면 주차장에서 노는 아이들 목소리가 씩씩하게 들려온다. 나무 아래, 친구네 집, 내가 사는 아파트의 놀이터 뿐만 아니라 다른 아파트 단지 놀이터까지 몰려 다니는 아이들은 언제 봐도 힘이 넘친다. 책을 읽으며 ‘아이들이 자라는 데는 마을 전체가 필요하다’, ‘아이들은 놀기 위해 세상에 온다’는 말이 떠오른다.

  모든 곳이 놀이터가 되고, 온 사람이 친구가 되는 아이들은 확실히 어른들보다 이웃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 아이들은 활동 범위가 넓은 만큼 마음도 넓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이런 아이들을 통하여 이웃을 알아가고 서로 배려하는 어른들의 모습이 훈훈하다. 

  처음 책을 읽어가면서 기대하고 미리 이야기를 짐작했던 것과는 달리, 마을 사람들은 놀이터 자리에 주민센터가 들어서는 것을 막아내지는 못한다. 어쩌면 그래서 더욱 현실적인 이야기로 다가오는 지도 모르겠다. 미끄럼틀, 그네, 시소, 지구, 구름다리와 같은 놀이 기구가 갖추어지지는 않았더라도 나무 울타리속의 작은 놀이터가 따뜻한 그림으로 그려지는 것도 그래서일 것이다.

  동화를 읽다 보면 문장 속에서 평소에 작가가 품었던 생각을 발견하게 된다.

어른들은 아이들을 사랑하는 척, 아이들을 이해하는 척, ‘뭘 해 줄까?’, ‘원하는 게 뭐니?’,‘어린이는 나라의 보배요, 미래요.’하고 떠들다가도 아이들이 성가시면 ‘시끄러우니 나가 놀아라.’ ‘너희들이 상관할 바가 아니야.’하고 등을 떠밀기 일쑤입니다…(118쪽~119쪽)

이야기 흐름을 따라가면서 푸른 소아과 의사선생님처럼 아이들의 말에 귀기울여주는 사람, 아이들에게 관심을 가져주는 사람이 소중하구나 생각했는데 이 문장을 만났을 때는 그렇지, 미소를 짓게 된다. 

실물을 보는 듯한 그림이 참 독특하다. 아직 읽지 않고 미루었던 책「압록강은 흐른다」에도 같은 화가가 그림을 그렸다고 하니 더욱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