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실의 보물 의궤 - 정조 임금님 시대의 왕실 엿보기
유지현 지음, 이장미 그림, 신병주 감수.추천 / 토토북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과 함께 그림책과 동화책을 접하면서 요즘은 만들기를 비롯한 워크북이나 역사책에도 관심을 갖게 된다. 그러면서 자연히 어린이 책의 다양한 아이디어와 참신함에 놀라게 된다. 이 책 또한 마찬가지다. 한 사람의 사진에 비유하여 의궤의 정의를 쉽게 풀어 설명하고 조선 뿐만 아니라 우리의 보물이라는 말을 하기까지 정조의 일대기를 따라가며 자료를 정리한 구성이 돋보인다. 
   아이랑 표지를 넘기면 양면을 가득 메꾸고 있는 부드러운 먹물 느낌의 그림을 한참이나 바라봤다. 이런 그림을 따라 그려보고 싶다더니 무엇으로 그려볼까 생각하더니만 다시 책속의 그림들을 넘겨본다. 의궤의 일부분을 확대한 그림들은 보면 볼수록 어른인 나도 흉내 내어 그려보고 싶다. 자세하면서도  익살스런 그림에는 많은 이야기 거리가 담겨있어 책보는 재미가 더한다. 의궤를 보고 연습할 때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각도를 달리하여 그렸다는 사실이 놀랍다. 또한 풍속화로 더 잘 알고 있는 김홍도가 이 의궤 그림을 그린 화원의 한 사람이었다는 이야기에 그림을 더욱 깊게 바라보게 된다. 이러한 재미로 책에 푹 빠져 보게 되지만 금붕어와 토토의 쉬운 대화와 의궤 그림에 잘 어울리는 삽화가 주는 영향도 적지 않다.   

   책에서도 ‘수원 화성은 건물 하나만 보는 것보다는 주변 경치를 함께 감상하는 것이 더 좋다’고 언급했는데 아이들이랑 종이로 ‘뜯어 만들기’한 수원화성에 꼭 가보고 싶다. 거중기 뿐만 아니라 백성들이 돌을 실어 날랐을 지게, 짐통, 삼태기, 짐틀까지 그려 넣은 의궤를 보니 숙연해진다. 정조를 왕으로서가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 먼저 만나게 된 것도 아이에게는 좋은 일이라 여겨진다. 사도세자를 위한 사당을 짓고 크게 사모한다는 뜻에서 경모궁이라 이름 짓는 이야기, 혜경궁 홍씨의 61번째의 생일을 위하여 화성에 가는 길에 미음 등의 음식을 담은 수레가 뒤따르는 그림에서 오랫동안 시선이 머무른다. 실학에 관심이 높았고 화성의 서장대에 서서 왕의 직속부대인 장용영의 훈련을 지시했던 정조의 갑작스런 죽음. 그에 대한 진실이 궁금하다. 
  아이랑은 그림 중에서 특히 관심이 많았던 활쏘기 대회, 가마, 의장물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