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의 전쟁 - 소비시장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김영준 지음 / 스마트북스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골목전쟁 - 누가 대만 카스텔라를 죽였는가?

 

 

나이든 사람이 사업하면 왜 더 잘 망할까

 퇴직 후 자영업을 선택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기사로 자주 접할 수 있다.
그런 기사를 볼 때마다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그런데, 과연 나이든 사람이 사업하면  더 잘 망하는 걸까?
라는 궁금증을 가지게 된다.

나이가 들어 뒤늦게 사업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잘되는 경우보다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라고 이야기 한다.
어찌 생각해보면 이유는 간단할 수 있다.
그동안 회사만 다니다 사업을 하는 경우, 가진것이 자본뿐인 경우
그리고 퇴사 후 명화하게 드러나는 개인의 역량으로 이야기 한다.

왜? 라는 궁금증을 가지고 접근하면
그 이유에 대해서 설득력 있게 답해 준다.

꼭, 미래를 준비하는 퇴사 준비생을 위한 것 뿐 아니라,
새롭게 사업을 준비하는 사람에게도
소비자 입장의 우리에게도
시장의 흐름을 알아가는 재미적인 요소들로
되어 있는 골목의 전쟁이다.


 

 

 

 

새롭게 사업을 준비한다면 시장의 흐름을 알 수 있고,
사업의 아이템을 정하고, 입지를 결정하고,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한
조언을 해 주고 있다.

그리고, 그동안 우리 주변에서 무수히 생기고 사라지는 아이템을 통해
무엇이 문제인지에 대해서 알 수 있다.

누가 대만 카스텔라를 죽였는가

개인적으로도 궁금했던 부분이다.
동네에 새로 생긴지 얼마 안되서 문을 닫게 된 노란색으로 기억되는 대만 카스텔라
처음에 생겼을 때는 줄을 서서 기다리는 모습의 사람들을 볼 수 있었다.
줄을 서서까지 사서 먹기를 싫어하는 맛이 궁금하지만 그냥 지나쳤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줄을 서지 않고도 먹을 수 있게 되어 드디어 맛을 보게 되었다.
맛을 보고 나니, 왜 이렇게 인기가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나의 취향은 아니였다.
그런데, 얼마후에 TV에 방영된 이 후 대만 카스텔라 가게 앞에는
TV내용과 상관 없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었고,
 그 이후에는 결국 문을 닫고 말았다.
불과 생긴지 3개월도 되지 않아서 말이다.
우리 동네에 생긴 가게는 대만카스텔라 열풍이 있는지 시간이 지난 후에 오픈했고,
오픈하고 얼마되지 않아서 TV에 나와 직격탄을 맞아 문을 닫게 되었다.
매스컴의 힘을 참 대단하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런데, 과연 대만 카스텔라가 사라지게 된 것이 매스컴 하나만의 영향일까?
궁금한 생각이 들었는데, 그 하나만의 영향은 아니였다.

내가 생각한 것처럼 '먹거리 X파일'이 몰란으르 부른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2016년만 해도 사람들이 20~30분씩 줄을 설 정도로 대단한 인기를 끌었지만,
2017년 1월부터 매장에 줄을 서 있는 모습을 보기가 힘들어졌다고 한다.
그리고 '먹거리 X파일'은 그 수명을 앞당겼을 뿐이다.

대만 카스텔라는 레시피가 단순해서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고,
진입장벽이 낮고, 카피가 쉬웠다.
그러다 보니 프랜차이즈 본사는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른 경쟁자보다 가맹점을 더 많이 늘려야 했다.
이 점에서 프랜차이즈 본사가 몰락의 첫 번째 진범이다.

그리고 그 폭발적인 증가세에 참가한 가맹점주이다.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하면서 우후죽순 생기기 시작한 것이다.

냉정하게 느껴지긴 하지만
대만 카스텔라라는 아이템과 브랜드가 몰락한 것은
 그 사업에 몸담고 있었던 사람들의 자살이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대만 카스텔라의 경우를 보더라고,
내가 사업을 시작할 경우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장사, 사업을 시작하려면 아이템을 결정해야 한다.
아이템을 결정하는 것이 승패를 가르는 일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주변을 둘러보면 유행처럼 밀려왔다,
얼마 후 주위를 둘러보면 썰물처럼 사라져버린 가게들을 떠올릴 수 있다.

유행 아이템은 공통적으로 진입과 창업이 매우 손쉽다.
하지만, 유행 아이템 사업은 겉보이엔 쉬워 보여도 알고 보면
가장 난이도 높은 사업이다.

 

 

 

 

 

아이템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입지이다.
집을 구할 때도 입지에 따라서 가격이 다르고
집값 역시 입지에 따라 상승폭이 다르다.

가게는 상권과 입지가 매우 중요하고, 어디에 입지하느냐에 따라 매출이 크게 다를 수 있다.

그렇다면 최적의 입지는 어디일까?


입지는 가게가 위치하는 지리적 조건을 말하고,
상권은 상업 영향력이 미치는 범위를 말하는 공간의 개념이다.

종종 최적의 입지가 아닌데 유명하고, 손님이 끊이지 않는 가게를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입지가 중요하지 않은 걸까?

최적의 입지는 업종의 특성과 아이디어에 따라 다르다.
그래서 절대적으로 좋은 상권과 입지라도, 사업에 따라서는 최악의 입지,
또는 그저 그런 입지가 될 수 있다.
먼저 업종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알맞은 입지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학교에서 사회를 배우는 순간부터 경제의 개념을 시장의 원리로 만나게 된다.
그렇게 배운 개념과 시장의 원리로
창업을 시작하기에는 너무 많은 변수들이 존재한다.

요즘은 한가지 직업만으로는 살기 힘든 시대라고 한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창업에 대한 고민을 하고, 창업을 시도한다.
 나 역시, 경제활동을 계속 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면,
자연스럽게 창업 역시 염두에 두게 된다.

누구나 창업을 해서 성공하고 싶지,
가게 문을 닫고 창업에 실패하고 싶지는 않다.

그렇다면 좀 더 시장을 제대로 바라볼 수 있는 눈이 필요하다.
그런 눈을 키우는 데 도움을 주는
<<골목의 전쟁>> 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