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 놀라운 문화 나는 알아요! 6
플로랑스 뒤카토 글, 샹탈 페텐 그림, 박웅희 옮김, 서원주 감수 / 사파리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물관 가기전에 보고 갈까요? 나는 알아요! 박물관

 

 

요즘의 아이들 주말에 박물관에 가면 박물관에서 팀을 이뤄 수업을 받는 많은 아이들을 만날 수 있다.

책에서 보던 것, 학교에서 배우는 것을 직접 볼 수 있는 박물관 수업은

여러모로 아이들에게 도움을 주기도 하고,

공부에 대한 또 다른 생각과 경험을 하게 해주는 것 같다.


어릴때는 어떤 특별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가는 곳

또는 전문적인 전공자들이 가는 곳

등등 편하게 갈 수 있는 곳이 아니라는 생각이였다.


한달에 한 번 박물관 수업을 가고 있어서 인지

이젠, 박물관에 가는 것이 어색하지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편안해졌다.

그리고, 또 다른 박물관을 가보고 싶게도 한다.


아이들 역시, 박물관에 대해서 다니기 전과 다닌 후가 달라진 것 같다.

유치원에서도 학교에서도 현장학습 등으로 많이 가는 박물관.

그냥 가는 것보다~ 박물관에 대해서 알고 간다면

더욱 더 좋은 곳이 박물관이 아닐까 싶다.


아는 만큼 보인다!

박물관 가기전에 보고 가면 더 좋은

나는 알아요! 박물관



 

나는 알아요! 박물관은 지식그림책이다.

아이들이 알아야할 것들을 재미있으면서도 간단명료하게 이야기 하고 있다.


아이에게 그림을 보여주면서 읽어주기도 하고

오디오 CD가 포함되어 있어서

들려주는 책으로도 사용해도 좋을 거 같다.


읽어주고 들려주고~한 다음에

아이에게 박물관에 대해서 소개해 주는 역할을 하게 한다면

더욱 좋을 거 같다.

아이들에게 알려주기만 하는 지식 그림책으로의 활용보다는

아이들이 직접 알아가게 하는 지식 그림책으로의 활용을 하려면

아이가 직접 해 보게 하는 것이다.

일일 큐레이터가 되어서 박물관에 처음 온 엄마에게

박물관을 소개해주는 역할을 맡겨보는 것이다.

소품으로 안경, 펜, 수첩등을 준비해서 주면~

더 좋을 거 같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 중에 하나가~

색칠하기, 그림그리기이다.

그리고 그려진 그림을 벽에 붙여 주면 더욱 좋아한다.


클라라와 바실은 온종일 그림을 그리고 누구나 볼 수 있게 벽에 붙여 전시한다.


아이들이 그림 그림을 보고 박물관 같다는 이야기를 해주고,

박물관에 가기로 해 주시는 멋진 할아버지, 할머니이시다.


 

 

할머니 할아버지와 박물관에 온 아이들은

박물관에 대해서 하나씩 알아간다.


박물관에는 역사박물관, 과학박물관, 미술박물관등으로

여러가지 박물관이 있고,

미술박물관은 미술관이라고도 한다.

미술관에 가 본 아이들이라면, 아~~ 나 여기 가봤는데 라면 반가워할 것이다.





 

 박물관에서는 무엇을 전시할까요?


장난감 박물관에서는 할머니, 할아버지와 엄마, 아빠가

어렸을 때 갖고 놀던 장난감을 볼 수 있다

역사박물관에서는 옛사람들이 어떤 옷을 입고 어떤 것을 먹고, 어떤 도구를 가지고

생활했는지 알 수 있는 사진과 그림, 모형이 있다.


식물박물관, 미술박물관 등등 박물관에서 우리가 볼 수 있는 것들을 이야기 해 준다.

그리고, 어느 전시품이나 바로 밑이나 옆에 작은 설명문이 있는데,

전시품에 대해서 알려주는 것이다.


박물관에 가서 우리가 만날 수 있는 전시품들에 대한 이야기를 해 준다.

그냥, 눈으로만 보고 지나갔던 전시품들을

이젠 좀 더 가까이에 가서 어떤 전시품인지 알아볼 수 있게 해 준다.





 

관람객들은 박물관에 있는 여러 방을 돌면 전시품을 구경하는데

모든 방을 들어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관람객이 들어갈 수 없는 방에서는 무엇을 하는지 궁금증을 불러 일으킨다.

그리고, 오래전부터 내려오는 작품들이 훼손되었을 때는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시켜준다.


바로 보존, 수복실에서.

 

 

 

 

곳곳에 있는 꼬마지식을 통해서 박물관에 대한 꼬마해설가가 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박물관과 전시회를 홍보하는 일은 물론, 전시실을 꾸미고

박물관 직원들을 관리하기도 하는

큐레이터라고도 불리는 학예사


대부분의 박물관에 가면

박물관의 역사나 전시품, 예술가를 소개한 안내서가 있다는 것도 알려준다.



 

문제는 싫어하지만 퀴즈라고 하면 왠지 재미있은 느낌이 들어서인지 좋아하는 아이들

책을 보고 확인 차원에서 아이들에게 질문을 하는 형태가 아닌

꼬마큐레이터에게 궁금을 한 것을 물어보다고 하면

아이들은 어느새 으쓱 해져서 신난게 답변을 해 나갈 것이다.


궁금한 것이 많은 아이들.

아이들의 궁금증을 해소시켜주면서

생각주머니에 지식도 쌓아주는

나느느 알아요! 박물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