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하유지향에서 들려오는 메아리 장자 ㅣ 나의 고전 읽기 22
김시천 지음, 김태권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5년 4월
평점 :
무하유지향에서 들려오는 메아리 장자

나의 고전 읽기 시리즈.
고전읽기라고 검색을 하면
다양한 고전읽기에 대한 내용들이 나와요.
연관검색어로는 대학생고전읽기, 즐거운 고전읽기, 맛있는 고전 읽기,
고전 읽기의 즐거운, 고전 읽기 대회...등등
고전읽기에 대한 관심과 또는 중요성이 느낄 수 있는데,
고전이라고 생각하면 왠지 어렵고
또는 지루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요.
초등고전읽기의 방법, 초등고전도 다양한 책으로 나와 있어요.
고전은
'오랫동안 많은 사람에게 널리 읽히고 모범이 될 만한 문학이나 예술작품'
이라고 국어사전에 설명되어 있어요.
무하유지향에서 들려오는 메아리 장자를 보면서
왜? 고전에 대해서 이렇게 찾아보았을까요? ^^;;
특히, 장자의 이야기라고 하니 더 어렵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고전에 대한 이모저모를 찾아보게 하였어요.
지은이는 내 아이에게도 읽힐 수 있는 책을 써야겠다는 생각을 이 책을 썼다고 해요.
하지만 조금 더 기다렸야겠다는 할 듯하다는 말도 덧붙였어요.
저, 역시 우리 아이가 이 책을 읽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책을 읽고, 또 역시 조금 더 기다리겠다는 마음도 가져봅니다.

우리 아이가 읽었으면 좋겠을 책이지만
아이에게 고전이 너무어렵고 딱딱하게만 다가가면 안될 거 같아요.
'장자 를 무겁고 딱딱한 철학책으로 읽기보다 삶의 이야기로 읽는 방법으로 소개합니다.'
'장자'에 대한 '철학적 해석'을 시도 해온 기존의 책들과는 다른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장자'의 소개서로 이야기 하고 있어요.

'장자'하면 떠오른 것들은?
역시, 가장 먼저 무위자연이라는 말이네요.
학교 다닐때 많이 배웠던 단어를 외우듯 배워버린
장자의 이야기들로 다시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요.

총 8장으로 구성된 무하유지향에서 들려오는 메아리 장자는
'장자'하며 떠오르는 단어들을 한자리에 모아,
그동안 중국과 한국에서 이어 온 장자에 대한 다양한 논의의 밑그림을 보여주는 1장에서
한반도로 건너 온 '장자'에 관한 이야기인 7,9장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원숭이를 부리는 사람이 원숭이에게 도토리를 먹이로 주면서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를 주마."
라고 했더니 원숭이들이 모두 화를 냈다.
그러나
"아침에 네개, 저녁에 세 개를 주마."라고 했더니
원숭이들이 모두좋아했다.
말의 내용도 도토리의 개수고 변함이 없는데,
원숭이들의 좋아하고 화내는 감정을 조종을 당한 것이다.
이 이야기가 바로 '장자'의 유명한 조삼모사이다.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를 주는 것이나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개를 주는 것은
말의 내용이나 개수는 전혀 차이가 없다.
그럼에도 원숭이들이 어리석게도 어떤 때는 화를 내고 어떤 때는 좋아하더라는 것이다.
부림당하는 처지에서 사는 삶은 이와 다르지 않다.
하지만 장자가 추구한 삶은 아주 소박한 것이었다.
사육되는 인생보다 조금 열악하고 가난해도 마음은 편안하고 자유로운 삶이야말로 진정한 행복으로 가는 길이라는 것이다.
- 무하유지향에서 들려오는 메아리 장자 중에서 -
책을 읽어 내려가는 것이 쉽지만은 않았어요.
하지만, 곰곰히 생각도 해보고,
한 문장을 여러번 읽어보기도 하였어요.
특히나 인간 장자와 관련된 일화들을 비교해서 들려주던 3장에서는
삶에 대해서 좀 더 생각해보게 되었어요.
고전읽기가 아이들에게 어렵게 다가설 수 있지만,
문자를 읽어내려가는 것이 아닌
곰곰히 생각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것이 고전 읽기가 아닐까 라는 생각을 들었어요.
우리 아이가 읽기에는 아직 조금 더 기다려줘야겠지만,
' 벗들이여 강호(江湖) 에서 잘 지내시기를!'
이라고 말하며
함께 읽고 이야기 할 수 있는 그날을 기대해보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