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배추흰나비 알 100개는 어디로 갔을까? ㅣ 길벗어린이 과학그림책 7
권혁도 글.그림 / 길벗어린이 / 2015년 3월
평점 :
배추흰나비 알 100개는 어디로 갔을까?

배추흰나비 알 100개는 어디로 갔을까?는
배추흰나비 알 100개가 1마리의 나비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실제처럼 느껴지는 세밀화와
여러가지 사건이 등장하면서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배추흰나비 한살이를 담은 과학그림책이에요.
처음에는 배추흰나비의 알이 100개 였는데
100개의 알이 모두 나비가 되지 못하는 과정에서
생태계의 원리를 만나볼 수 있어요.

배추흰나비 알을 보신적이 있나요?
배추흰나비 알은 밥알보다 훨씬 작다고 해요.
배추흰나비 알은 애벌레로 지내면서 다른 곤충의 멋잇감이 되기도 하고
벌들에게 기생을 당하고
농작물을 망치는 해충으로 사람들 손에 죽기도 한다고 해요.
하지만, 나비가 되면 꽃가루를 옮겨주어 식물의 번식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하죠.
그래서 배추흰나비는 알을 많이 낳고,
최소한으로 살아남아 다음 생명을 이어 가는 것이라고 해요.
농작물을 해치는 해충이라서 무조건 없애야한다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순리대로 살아가는 배추흰나비의 한살이를 만날 수 있어요.
100개의 알에서 시작된 배추흰나비의 알이
왜?? 점차 줄어드는지는 보여주면서
생태계의 원리를 이해하면서 만나볼 수 있도록 되어 있어요.

100개의 알에서
76마리 애벌레가 나왔어요.
하지만 비가오면 작은 애벌레들은
빗물에 씻겨서 떨어지기도 해요.

76마리의 애벌레가 나왔지만,
빗물에 씻겨서 떨어져서 58마리의 애벌레가 남았네요.
알에서 나온 애벌레는 애벌레 사냥꾼이 알아채지 못하게
알 껍질을 갉아먹는 다고 해요.
이렇게 생존 본능이 있는 거겠죠?
하지만 자연스러운 생태계의 순리는
바로 먹이사슬이라는 거겠죠.
흰눈썹깡충거미가 배추흰나비 애벌레를 잡아 먹었어요.

결국 8마리 번데기들도 2마리만이 나비로 변신할 수 있었지만,
한마리 나비는 숨어서 기다리던 사마귀 한 마리가 잽싸게
낚아채 버렸어요.
결국 배추 흰나비 알 100개는
한마리만이 나비로 날아오를 수 있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