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수리 셈도사 수리 네버랜드 꾸러기 문고 51
이향안 지음, 최미란 그림 / 시공주니어 / 201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수리수리 셈도사 수리

 

 

수리수리 셈도사 수리는

제목에서 느껴지듯이 셈, 곱셈이라는 소재를

사용해서 함께 살아가는 소중함을 느끼게 해주는

재미있는 이야기에요.




 

조선 시대 한 고을에 셈 실력이 뛰어나 '셈도사'로 불리는

수리가 살고 있었어요.

수리는 여섯살때부터 장사꾼도 주판알을 튕겨 봐야하는 어려운 셈까지

척척 해냈죠.


그래서 마을 사람들은 수리를 셈도사라고 불렀어요.



 

 

아홉살이 된 수리는

셈이라면 문제가 없는 마을의 셈도사가 되요.

 

 

 

 

그러던 어느날 셈을 잘하는 수리의 이야기를 들은

마을의 박영감이 수리에게 제안을 하나하죠.


박영감에겐 늦둥이 외둥아들 범이가 있는데

범이에게 셈법을 가르쳐 주라는 거였어요.


잘만 하면 상금도 넉넉히 준다는 제안까지 하고요.


할머니와 어렵게 살던 수리는 박영감의 제안을 받아들였어요.

 

 

 

 

 

하지만, 평소 평판이 좋지 않는 박영감이 아무 꼼수없이

그저~ 수리에게 그런 제안을 하지 않았을텐데~~

마을사람들은 무슨일이 일어날지 걱정이 되기도 했어요.


과연~ 박영감은 무슨 꿍꿍이 속일까요?





박영감과 수리가 약속한 날이 코앞에 다가오자

수리는 여러가지로 마음이 답답했어요.


그래서 저잣거리 구경을 나선 수리는 할머니 산나물을 팔고 계신데

아무래도 할머니의 계산방법이 잘못 된거 같은거예요.


할머니는 낡아 빠진 버선 한 컬례와

수리가 캐온 제법 많은 산나물을 바꾸기로 하신거예요.


수리는 할머니의 셈이 이상했어요.


할머니의 셈이 틀리거나 이상한것이 아니였어요.


할머니는

아낙 혼자서 애들 다섯을 키우는데, 배를 곯는 아이들이 다섯이나 된다며,

산나물 죽이라도 끓이면 오늘 저녁 한끼는 해결 될거라고 하셨어요.


" 셈은 숫자로만 하는 것이 아니여, 마음으로 하는 셈이란 게 있구먼."


마음의 셈법 너무 멋지지 않나요?


자기가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요즘 아이들이

모두 행복할 수 있는 나눔의 행복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드디어 박영감과 약속한 날이 돌아왔어요.


박영감은 범이에게 2단곱셈을 외워 보라고 했어요.

수리에게 배운 범이는 2단곱셈을 잘 외웠답니다.


이제, 박영감의 꿍꿍이 속이 들어납니다.


" 작년에 마 씨의 땅 삯은 쌀 다섯 섬이었다.

물론 작년엔 내게 빌린 땅에서 한번만 농사를 지었으니 그 계산이 맞았다.

헌데 홀해는 그 땅에서 두번이나 곡식을 심었더라구나.

그럼 올해 마씨가 내야 할 땅 삯은 얼마이겠느냐?


바로 박영감의 시커먼 속내는

작년보다 두배의 삯을 받아내려는 것이였어요.


 

 

 

올해 가뭄으로 곡식 수확이 어려웠던 마을 사람들은

모두~ 큰 걱정에 빠졌어요.


곱셈법 대로라면 두배를 내야하게 생겼거든요.


우리의 셈도사 수리는 어떻게 이 위기를 넘길까요? ^^


​수리는 셈을 잘하는 셈도사이기도 하지만,

​할머니의 마음으로 하는 마음의 셈법도 할 줄 하는 아이거든요. ^^


 

어떤 일이든

왜 해야하는지? 뭐가 필요한지? 를 알게 되면

더 잘할 수 있는 힘과 하고 싶은 마음이 들는 거 같아요.


무조건 곱셈구구를 외워라라고 하기보다

관련된 재미있는 이야기를 읽으면서

왜 셈이 필요한지 어떨때 필요한지 알게 되면

아이 스스로 할 수 있는 힘이 키워지는 거 같아요.


물론, 그렇게 되는 게 한번에 되는 일이 아니라는 건 알지만요..^^;;


그래서, 아이들에게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여러가지 책을 보는 것도 도움이 많이 되는 거 같아요.


수리수리 셈도사 수리에서는

수리가 박영감의 꼼수에 휘말렸지만 재치와 현명함으로 이겨낸다는

단순하고도 명료한 이야기에요.


그속에서 우리 조상들도 구구단을 외웠다는

재미있는 설정이 나도 모르게~ 구구단을 중얼거리게 만들어 줘요..^^


만약 수리가 셈도사가 아니였다면,

박영감의 꿍꿍이 속에 속수무책이였을거예요..


수리가 셈도사여서~

마을사람들은 모두 행복할 수 있었어요.


수학을 왜 하는지 알겠죠?

수학 어려운 공부가 아닌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공부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