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 따위는 중요하지 않다 – 거짓과 혐오는 어떻게 일상이 되었나’ 책은 미국의 유명 서평가가 발표한 책이라고 해서 호기심이 생겼다. 정치 문화비평책이라고 소개되어 인터넷 매체의 발달로 ‘요즘 시대’에 쉽게 접할 수 있는 거짓 정보들이 어떻게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내용이라 생각했다. 퓰리처상 수상자가 말하는 풍자란 무엇인지 알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들었다. 책을 받아 든 순간, 검정색 겉표지와 뱀의 그림은 섬뜩한 느낌으로 다가왔다. 책을 처음 펼치고 이 책의 원제목을 완전하게 확인하고 나서야, 가쿠타니가 살펴보고 싶은 내용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 ‘Notes on Falsehood in the Age of Trump’에서, 아, 트럼프구나 하고 말이다.
미국은 G2국가 중 하나로, 전세계의 안보, 외교, 경제 등 모든 것을 좌지우지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러한 막강한 힘을 가진 미국의 대통령이자 전세계 통틀어 엄청난 부를 자랑하는 트럼프의 이야기라 사실 미국에 국한되어있다고 보기는 힘들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책은 지극히 미국적이다. 트럼프 역시 ‘미국’ 내에서 선출된 대통령이다. ‘미국’ 내에서 자국의 이익을 위해 국민들이 선출한 대표다. 이 책은 그 과정에서 어떠한 정치적 싸움이 벌여져 왔는지, 그리고 그 과정 속에서 어떻게 거짓이 진실이 되고, 진실이 거짓이 되었는지 그 ‘과정’을 아주 상세하게 살펴보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 IT기술의 발달과 미디어의 개념이 어떻게 활용되어왔는지가 덧붙여진다.
인터넷 매체의 발달로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는 지금, 오히려 선별된(selected) 맞춤형 정보들을 선호하며 과거에 비해 더 많은 사실들로부터 단절된 채 생활하고 있는 건 아닐까. 능동적인 사회참여가 미디어와 인터넷의 발달로 오히려 수동적인 ‘소속’의 형태로 변화한 게 아닌지, 이를 반영하면, 기술발달이 우리 사회의 긍정적인 변화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고 단정짓기는 힘들 것 같다. 오히려 소통보다는 단절된 세계 속에 빠져들고 있는 것이다. 저자는 맞춤형 정보에 따라 자신의 가치관, 취향, 신념이 같은 정보만을 더욱 더 자주, 그리고 많이 접하게 되고, 이를 통해 소속감을 찾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알고리즘에 대한 맞춤형 정보의 위해성 또한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다. 편향된 정보만 지속적으로 보게 되는 셈이기 때문이다.
웹의 등장으로 또 한가지 주목해야 하는 점은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정보를 더 많이 공유할수록, 즉 조회수가 클수록 그 정보에 대한 가치 또한 커진다. 결국 ‘관심’이 가장 정보의 가치를 매기는 셈이다. 그런데, 여기서 고려해봐야 할 점은 정보의 ‘공유’는 자극이 강한 감정영역부분의 활성화로 이루어지는 행동이라는 것이다. 객관적인 정보인지, 주관적인 정보인지, 정보 자체의 사실여부를 논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정보의 범위, 감정영역에서 발휘하는 정보의 힘을 논하고 있다. SNS의 참여를 극대화할수록 주어진 정보로 더 정교해진(범위가 좁아진) 정보를 제공한다. 역설적으로, 이렇게 제공된 정보가 사용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기 위해서는 정보자체 또한 더욱 자극적이어야 한다.
가쿠타니는 사회에서 진실이 만무하게 된 맞이하게 된 원인으로 빅데이터의 가치와 비판적 사고의 부재 또한 지적하고 있다. 인간이 이성과 진실의 지배를 받는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비판적사고의 유무보다는 관계의 진실성에 의해 지배 받는 존재가 아닐까. 거짓정보와 야유, 비판적 폭력보다는 상대방을 대하는 진실한 감정은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권력이다. 이성과 진실을 가치로 추기보다는 인간성에 대해 가치를 두는 사회가 필요하다. 어쩌면 이러한 노력이 우리 사회에서 인문학이 다시 등장하게 되는 이유다.
책은 작고 가벼워 손을 크게 펼치면 한 손으로 쥐어 잡을 수 있을 만한 크기이지만, 그 내용만은 그렇지 않다. 그리고 앞서 이야기했듯이, 이 책은 기본적으로 ‘트럼프’시대의 거짓말을 논의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미국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정치 및 시사 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있지 않다면 책의 내용을 소화하기 힘들다.
 


#원탁의서평단 #진실따위는중요하지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장과 함께하는 유럽사 산책
김경화 외 지음 / 글항아리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에 책을 소개받고 막연하게 번역서인 줄 알았던 나는, 책을 받아든 순간 국내 연구진들이 – 그것도 한명이 아니고 6명이나 함께 모여- 지은 책이라는 점이 매우 흥미로웠다. ‘문장’을 연구한다는 것 자체가 그리 대중적이지는 않을 거라는 생각 때문이었다. 두번째로 놀라웠던 것은, 연구진들 대부분 유럽문학을 전공한 분이라는 점이다. 두명의 저자는 불어와 프랑스 문화를, 두명은 독어독문학과 교수이다. ‘유럽사 산책’이라는 책 제목에서 유추했을 때, 저자들은 막연하게 역사학자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세번째로 흥미로웠던 점은 문학과 문장의 연결고리가 과연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단순하게, 책의 초반에서도 지적했듯이 처음에는 문장이라고 해서 ‘sentence’를 생각했던 나는, 아, 그럼 문학 공부하신 분들이 ‘문장’에 대해 쓴 책이구나! 생각했는데, 읽어보니 문장이 그 문장이 아니었던 것이다. (물론 요즘 젊은이들은 엠블럼으로서의 문장을 떠올린다는 대목에 더 놀라긴 했다. 아, 이제 나는 그냥 ‘아줌마’에 속하는 나이구나 하는 생각에 말이다) 그러고 보니, 문장이 엠블럼을 의미하는 거라면, 디자인이나 색채학 전공하신 분들의 관심사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사실, 이 책은 출판사의 소개글만큼 글이 술술 읽히거나 재미적인 요소가 많이 가미된 책은 아니었다. 유럽사에 대한 지식이 거의 전무한 나에게는 역사이야기인 만큼 유럽사에서 문장의 역할에 대해 좀 더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나올 것으로 기대했으나, 역사보다는 문장이 주체가 되어 이야기가 펼쳐지는 것이 조금 아쉽기는 했다. 책 중간중간 예시그림들이 많이 실려있어서 이야기를 따라가는 것이 어렵지는 않았지만, 유럽사의 전체적인 그림이 없는 나는 디테일한 문장의 역사까지 따라가는게 쉬운 일은 아니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문장이 유럽인의 생홞속에 어떻게 자리잡고 활용되었는지 다양한 예시들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실제 문장의 모습도 책 중간중간에 컬러로 프린트되어 큰 도움을 주기도 한다.
현대사회는 더 이상 글자가 아닌 이미지로 소통하는 시대다. 대학 깃발의 로고, 와이너리나 양조회사의 로고 디자인, 국기, 축구 구단별 로고 등 단 하나의 엠블럼은 인간의 소통 수단의 한 방안으로 많은 메시지를 한꺼번에 제공한다. 문장의 표현은 오랜시간 동안 세대를 거쳐오면서 각 시대상을 반영하면서 변화한다. 현대 문장인 ‘엠블럼’ 은 오래된 수천년의 역사를 단 하나의 그림으로 함축하고 있는 것이다.
책의 마지막에서 저자는 동물의 인식체계가 정리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동물을 문장 속에 포함하여 그리는 것은 서양적인 컨텐츠이기보다는 동양학적인 색채가 더 강하다. 곰이나 뱀, 용, 모두 동양신화에 자주 등장하는 동물들이다. 문장에 동물들을 포함했던 유럽인들의 삶 역시 동양에 살고 있는 우리의 삶과도 크게 다르지 않을 수 있다는 생각도 들었다.
 어쩌면 지금 우리의 생활속에도 깊숙히 자리잡고 있을지 모르는 ‘문장(emblem)‘ 문화가 어색하지 않은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들에 관한 짧은 철학
필리프 J. 뒤부아 외 지음, 맹슬기 옮김 / 다른 / 2019년 4월
평점 :
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실 그 동안 새에 대해서 한번도 의식적으로 생각해본 적은 없었다. 그런데 얼마전부터 아침 어린이집 등원길에 딸이 보도블럭 사이 먹잇감을 쪼는 비둘기나 하늘 위로 날아가는 까치를 만날 때면, 신이나서 “엄마, 짹짹이~” 하면서 말을 걸며 따라가기 시작했다. 나는 “응, 그래 짹짹이한테 인사해~ 안녕” 하고 인사를 하고 바쁜 등원길을 재촉하거나, 딸이 따라가는걸 보고 날라가는 새들한테 새들도 이제 교실로 들어간다고 잘가라고 다급하게 주위를 환기시키고 가던 등원길을 마무리해야 했다. 출근시간에 늦지 않게 등원을 시켜야 하는 과정에 불쑥 날라온 새들이 밉기도 하였지만, 등원하지 않겠다고 떼쓰는 날이면 ‘저 앞에 짹짹이들이 있나 가보자’ 하면서 또 달랠 때 쓰는 방법 중 하나였다.



딸이 종종 나타나는 새들을 반가워하는 모습에, 팍팍한 도시의 삶에서 가끔 등장하는 새들이 반갑기도 하고, 어쩌다 도로 한복판까지 오게 되었을까 하는 마음에 짠하기도 하다. 이 새들은 무슨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하루하루 바쁘게 살아가는 도시근로자의 삶과는 또 다른 자유가 있겠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그런데 새들에 관한 짧은 철학이라니.



“조용히, 자신의 삶을 묵묵히 살아가는 새들의 자연스러움, 가벼움 속에서 그들이 가진 철학을 발견했다.”



이 책은 새들을 연구한 조류학자 필리프 뒤부아가 철학자인 엘리즈 루소와 함께 작업한 책이다. 조류학자답게 새들에 대한 다양한 습성들이 묘사되고 있다. 이러한 습성들은 단순히 동물적인 감각이 아닌, ‘새’라는 집단 내에서 살아남기 위한 자연적 본능이다. 작가는 이러한 자연적 본능 속에서 인생사에서 가끔 잊고 지내거나 간과하고 있었던 삶의 지혜들을 꺼내든다.

이 책은 새들이 살아가는 모습에서 도출된 총 22장의 철학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털갈이를 이겨내는 오리에서는 재생을 위한 소멸의 시간을, 본능적인 방향감각으로 몇천킬로의 긴 거리를 찾아가는 큰되부리도요새는 삶의 방향을, 극락조는 잠재된 창의성을 상기시켜준다. 프랑스 작가답게, 거위, 멧비둘기, 바위종다리, 독수리, 펭귄과 오리를 통해 사랑하는 법과 누구에게나 주어진 가족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인간의 삶 속에서 짚어준다.



“새들의 삶은 정확하게 빈틈없이 짜여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습관들은 관습적으로 굳어진 결과물이 아니라 자연의 리듬을 따른 하나의 자연스러운 움직임과 같은 것이다”



“새에게는 즐거움이 가장 중요한 것 같다. 고뇌 같은 건 내던진 채 지금 당장 얻을 수 있는 행복을 찾아간다……우리가 아는 진실은 하나다. 새는 행복에 대한 질문을 던지지 않는다는 것. 새는 그저 행복을 경험할 뿐이다. 걱정하지 않을 줄 아는 것, 여기서 행복은 시작되는 게 아닐까?”





조용히 자신의 삶을 묵묵히 살아가되 때로는 잠재된 창의성을, 호기심을 가지고 행복을 경험하는 새들을 통해 내 자신을 되돌아본다. 정신 없는 일상 속에서 진정 우리가 추구하는 삶은 무엇일까? 22장의 소주제에서 새들이 보여주고 있는 삶의 메시지는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은, 행복에 관한 새들의 철학이다.

자유를 찾는 파랑새 이미지 때문인지 책을 구성하는 파란색, 흰색, 검정색의 조화가 새와 잘 맞아떨어지는 느낌이다. 또 한 손으로 충분히 잡을 수 있는 작은 크기의 책이라 시집을 읽는 기분도 든다. 덕분에 책을 읽는 내내 새들이 조마조마한 행동들을 한다 하더라도 편안함을 지울 수 없었다. 물론 각 장의 마무리에서 언급된 인생철학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새와 같은 마음으로 훌쩍 떠나버릴 여름휴가를 기대하는 이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숨에 읽는 그림 보는 법 - 시공을 초월해 예술적 시각을 넓혀가는 주제별 작품 감상법
수잔 우드포드 지음, 이상미 옮김 / 시그마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단숨에 읽는 그림 보는 법은 무엇일까?

나는 평소에 박물관은 즐겨찾지 않더라도 그림 전시회 일정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편이라, 책 제목에 크게 이끌렸다. 이 책을 받아 든 순간, 그림이 많이 있어 깜짝 놀랬고, 다 읽고 나서 드는 느낌은 처음 제목을 봤을 때와는 전혀 다른 느낌이었다.

이 책은 총 13개의 소제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저자는 13개의 서로 다른 주제별 주요 작품들을 선보이고 이 작품들의 특징과 주요 감상포인트를 소개하고 있다. 13개의 소제목 중, 역사와 신화, 기독교 세계라는 소제목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주제는 ‘‘Images of Myths in Classical Antiquity’’이라는 책으로 Criticos Prize를 수상한 저자에게 아마 빠질 수 없었던 주제일 것이다. 게다가 저자가 대영박물관에서 예술사를 가르치고 있는 만큼, 책의 대부분의 작품은 유럽에서 그려진 작품들이다. 하지만, 저자는 그림보는 법을 설명하기 위해 이에 국한하고 있지는 않았다. 공간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한 챕터에서는 종교나 역사적인 사건들의 배경지식이 없이 해석이 가능한 작품들을 다수 차용하였고,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보관되어 있는 일본의 목판화 한 점도 포함하기도 하였다.

이 책의 제목이 '단숨에 읽는' 그림 보는 법이라고 해서 쉽게 읽히는 책이라 생각하면 그것은 큰 오산이다. 단숨에 그림 보는 법, 즉 테크닉적인 기술보다는 주제별 작품을 소개하고 이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이 더 많이 담겨 있다. 사실 역사적인 배경을 잘 알지 못하는 나는, 책을 읽으며 그림보다는 역사적인 배경의 흐름을 따르는 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되기도 하였다. 저자의 전문분야가 예술사인만큼, 그림의 미학적인 이해를 위한 테크닉보다는 역사적인 배경과 여러 작품들의 역사적 연결고리를 찾아 작품을 이해하는 방법을 중심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또 한편으로는, 이 책에서 작가는 예시로 든 작품들에 대해 작품별로 작품이 생겨난 배경, 작가의 의도, 그림의 주요 관전포인트를 설명하고 있지만 책을 한장 한장 넘겨가면서 얻을 수 있는 것들은 그러한 사실적인 정보에 국한되지 않는다. 출판사는 이 책에 '시공을 초월해' 예술적 시각을 넓혀가는 주제별 작품감상법이란 소제목을 달아주었는데, 여기서 '초월'의 개념은 예술작품에 시공적인 의미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포괄적으로 부여하여 감상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다행인지 모르겠지만, 책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13개의 소챕터 마지막에는 각각 생각해 볼 질문들을 제시한다. 오히려 챕터 마지막의'핵심질문'을 통해 이러한 정보 없이 작품이 주는 미학적 기쁨, 미학적인 관전포인트를 찾아낼 수 있는 테크닉을 제시하고 있다. 이 질문들은 단순히 작품들을 역사적 또는 시대배경적 해석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감상자가 자신의 눈으로 작품 스스로 주는 메세지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 데 도움을 준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각 주제별로 소개되고 있는 주요 예술작품을 접할 기회가 주어질 것이다. 이 책을 통해서 간접적으로나마 이러한 유명 작품들을 미리 접한 경험들로 인해, 훗날 미술관이나 박물관에 들려 실제로 이 접했을 때의 그 감동을 더 풍요롭게 해 줄 것이라는 생각만으로도 이 책을 읽어볼 만한 충분한 이유가 될 것이다.

책에 많은 작품들이 실려있기는 하지만, 지면 구성 및 책의 크기 상 아쉬운 점도 많다. 이러한 아쉬움을 해결하려면 아마도 전세계 곳곳에 숨겨져 있는 책에 소개된 작품들을 찾아나서야 할 지 모른다. 책을 읽고 나니, 직접 찾아가서 실제 작품을 보러 가고 싶은 충동이 느껴지기도 했다. 책을 읽는 동안 내용이 단숨에 읽을 만큼 쉽다고 느껴지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기분이 아마 지은이가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싶었던 메시지가 아니었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Luminarc]프랑스 루미낙 엘레강스 와인잔 245ml 6P세트 (jy)
아크인터내셔널
평점 :
절판


싼맛에 사봤지만 잔이 매우두꺼워 절대 안깨질것 같은 것이 장점이자 단점. 돈좀 있으심 얇아서 좋은 와인잔 구매하시길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