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고할미네 가마솥 이마주 창작동화
김기정 지음, 우지현 그림 / 이마주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가들아! 이제 아무 걱정 말고 살아가거라

 

『마고 할미네 가마솥』을 읽고


마고할미. 우리 나라를 만들었다는 신화 속 인물.

마고할미를 어떻게 글에 넣어 지금과 연결시켜 이야기를 할까 하는 궁금증을 가지고 책을 보았다. 입말로 되어 있어 읽기도 읽어주기도 좋았다.

 

 유진이와 교진이는 태풍으로 순식간에 아빠와 엄마, 태어날 동생을 잃게되었다. 유진이와 교진이를 보살피겠다는 자선사업가 도기는 아이들의 재산을 빼앗고 다른 나라에 팔아먹으려는 사람이었다. 유진이와 교진이를 구하기 위해 온 덕구아저씨에게서 받은 신기한 씨앗에 오줌을 누자 싹이 뻗어나가 마고할미에게 보살핌을 받고 아이들을 찾으러 온 도기씨 부부는 혼이 난다는 내용이었다.


 앞으로 희망인 어린이를 나쁜 어른에게서 구해주는 누군가가 있고, 나쁜 사람은 벌을 받게 된다는 이야기. 첫번째 의문점. 그런데  왜  마고할미였을까? 조왕신이나 삼신이어도 이야기를 꾸려가는데 별 차이가 없을 것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김기정작가는 우리나라를 만든 큰 마고할미가 집안에 있는 신들보다 우리나라 어린이를 두루 보살필수 있다고 생각했나보다. 하늘을 밀어올리고 흘린 흙 한줌도 섬이 되는 큰 마고 할미를 유진이보다 두어뼘 정도 크게 이야기하고 있다. 6살 딸은 듣다가 “왜 마고할미가 이렇게 작아?” 하고 물었다. 아이도 나도 마고할미에 어떤 일을 할까? 가마솥으로 무엇을  할까 기대가 있었나보다.


 마고할미의 가마솥을 제목으로 한 까닭은 무엇일까? 마지막 장면에 유진이가 꿈속에서 중얼 거린 말 때문인걸까?  이게 뭘 뜻하는지 궁금하지도 않았다는 남매. 그냥 꿈이었으니까.

 

하지만 김기정 작가가 정말 하고 싶은 말은 마지막 문장일거라 생각된다. 지금을 살아가는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자신있게 말해 줄 수 있는 사회 그런 사회를 만들자는 다짐을 보이고 있다.

 아가들아 , 이제 아무 걱정말고 살아가거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