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테 닮고 싶은 창의융합 인재 8
곽은우 지음, 홍찬주 그림,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감수, 손영운 / 와이즈만BOOKs(와이즈만북스)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만남은 의미가 있다

『닮고 싶은 창의 융합 인재 -괴테』을 읽고

 

 괴테. 나에게 괴테는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파우스트]작가였다. 그런 괴테가 철학, 과학, 회화, 건축에 까지 관심을 갖던 요즘 말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라니.  궁금증이 앞섰고 책이 기다려졌다.

 

 

 책은 괴테의 삶과 한국사, 세계사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해주어 비교하기가 쉬웠고,

 


괴테를 통해 말하고 싶은 인재상까지 정리가 되어 있었다.

 내가 책을 통해 만난 괴테는 정말 많은 만남을 가졌다. 그 만남을 그냥 지나침 없이 의미를 두고 만났다는 것이 괴테의 특별함 이랄까?

 릴 때 엄마가 들려주는 옛이야기를 통해 괴테는 상상력을 키우고 문학에 재능이 있는 자신을 만날 수 있었다. 스스로 이야기를 꾸미고 음미한 시간을 가진 괴테가 남다를 수 밖에. 자연에 대한 따뜻한 사랑을 가지고 관찰하는 모습은 동물해부학에도 남다른 업적을 남기고 색채론이나 식물변형론은 지금에도 깊이 연구되고 받아들여질 정도이다.

 로테와 만남, 사랑으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남겼다. 카를아우구스트 공작을 만나 정치, 문화에 관심을 갖고 사람을 아끼는 마음으로 정치에 직접 참여하기도 하였다. 실러, 슈타인 부인, 에케만과 만남으로 문학에도 깊이 있고 다양한 작품을 남길 수 있었다.

 지금 사회는 전문가로서 지식이 무척 중시되는 사회다. 하지만 전문 지식 획득만 생각하지 않고,  지금 내게 다가온 크고 작은 만남을 소중히 한다면 새롭게 생각할 수 있는 자극을 줄 것이다. 그리고 내 속에 있는 지식들이 결합되어 또 다른 지식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계기가 된다. 모든 만남을 의미있게 생각했던 괴테였기에 우리가 지금 창의 융합형 인재라 다시 돌아보는 것이 아닐까?

 미래를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가 현재에 만나는 인연도 소중히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하게 해주는 괴테였다.


2017.04.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