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마중 그림이 있는 동시
김미혜 지음, 이해경 그림 / 미세기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꽃맞이가자, 꽃마중 가자

꽃마중/김미혜 시인 글/이해경 화가 그림/미세기 2024


산에 들에 꽃 피었단다.

얘들아, 꽃맞이 가자.

(중략)

꽃이 피었단다.

우리 함께 꽃마중 가자.


표지 뒷면에 쓰인 글이다. 꽃이 피는 봄이 시작되고 푸르름이 한창인 5월인 지금 여러 꽃이 자기를 드러내려 꽃을 피운다. 추운 바람이 불 때도 그 나름의 꽃을 피우는 꽃들이 김미혜 시인의 눈에 띄어 시로 피어난 꽃들이 개정판으로 나왔다. 표지의 작고 귀여운 방울 소리가 들릴듯한 은방울꽃을 배경으로 꽃 마중이라는 글씨마저도 꽃으로 피어나기 위해 몽우리 진 느낌이다.


[아기 까치의 우산]으로 만났던 김미혜 시인의 꽃사랑이 엮인 [꽃마중]은 이해경작가의 그림으로 한층 따사롭다. 연푸른 배경을 기본으로 하여 작가로 하여금 피어난 꽃은 자세히 보지 않으면 보지 못한 꽃의 암술과 수술, 꽃의 모양을 보고 있노라면 나가서 꽃을 만나고 싶다. 어린 시절 꽃의 얼굴 이름을 익히며 동양화를 전공한 이해경 작가의 그림이라 그런지 요즘 그림의 선명하고 쨍한 느낌보다는 서서히 스며드는 느낌이 드는 그림이다.


봄의 시작을 알리는 개나리부터 달개비, 동백꽃, 천일홍, 제비꽃, 진달래, 배꽃, 금낭화, 초롱꽃, 달맞이꽃, 산딸기, 아까기, 애기똥풀, 은방울꽃, 개망초, 옥잠호, 접시꽃, 채송화, 코스모스의 19가지 꽃이 [꽃마중]에 피었다. 달개비를 보며 작가처럼 꽃 속에 숨은 쥐를 찾을 수 있는지, 초롱꽃 속에 숨은 벌과 숨바꼭질을 위해 꽃이 피어있는 화단으로 달려가고 싶다.


옆집 개나리 울타리를 꺾어온 아이의 마음, 산에 가서 만나는 산딸기를 함께 따먹을 동생이 없을 수 있으니 요즘은 그 마음을 알기 어려운 시도 있다. 하지만 꽃을 보면 마음이 열리고 포근해지는 느낌을 아이들과 함께 느끼고 싶다. 꽃향기를 맡으면 어떠냐는 물음에 머리 아프다, 울렁거린다는 아이들도 있었지만 그 아이들에게도 눈높이를 낮춰 자연에서 느끼는 꽃의 아름다움을 함께 나누고 싶다

.

<은방울 꽃에게 바침>

"내가 좋아하는 꽃은 은방울꽃이야."

"얼마나 좋아하는데?"

"내가 오월을 기다리는 건

은방울꽃이 피기 때문이야.

은방울이 울리면 오월이 오잖아."

"왜 그렇게 좋은데?"

"그냥!"

"그래, 그냥 좋은 꽃이

가장 좋은 꽃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