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의 마음 책고래마을 48
유하정 지음, 안효림 그림 / 책고래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명을 대하는 마음

벽의 마음/ 유하정 글. 안효림 그림/책고래 2024


벽.

벽하면 느껴지는 느낌은 회색, 단단함, 차가움이 먼저 생각난다. 그런데 "벽의 마음"이라니. 벽에도 마음이 있을까? 무생물인 벽에서 느껴지는 마음은 어떤 마음일까? 누구를 향한 마음일까?


어린이 문학을 통해 등단한 유하정 작가와 유하정 작가와 함께 습작 시절을 빛나게 보냈다는 안효림 그림작가가 같이 한 그림책 [벽의 마음]이다. [벽의 마음]의 주인공 벽은 산과 산 사이를 지나는 도로 옆에 있는 벽이다. 높고 색이 없는 벽은 산과 산 사이의 도로를 바라보며 서있는다. 하지만 도로를 지나는 차들은 너무 빨라 잘 못 보는지도 모르는 장면을 본다. 도롯가에 와서 쓰러진 새끼 고라니 한 마리, 새끼 멧돼지 한 마리, 새끼 고양이 한 마리다. 저마다 다른 이유로 길로 나왔지만 같은 이유로 쓰러져 자신이 가는 길을 막은 벽에 기댄다. 벽은 자신에게 기댄 새끼 동물들을 보며 밤하늘 별처럼 마음이 깨어나 돌보기로 한다. . 분홍색, 검은색, 흰색만으로 그려진 [벽의 마음]은 표지의 글씨처럼 단단함 안에서 스며나오는 마음이 느껴진다.


[벽의 마음]은 사람의 벽이 아니다. 무생물이라 마음이 없다고 말하는 벽이 너무 빨리 지나가는 차들에 부딪쳐 쓰러진 생명을 마음을 다해 감싸주고 빌어준다. 이제 벽은 차갑고 색이 없음이 아니라 따스하게 느껴진다. 벽조차 그럴진대 우리는 생명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 질문을 던진다. 사람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도로가 다른 생명에게는 삶을 가로막는 벽으로, 희망이 없음을 상징하는 벽이 된다. 세상의 중심이 사람이 아닌 생명을 가진 모두가 함께 할 수 있는 세상은 힘들기만 한 일일까?


아이들에 로드킬은 큰 의미로 다가가지 않을 수 있다. 고속도로에서 로드킬 당한 고라니, 멧돼지, 고양이뿐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도 가까이 볼 수 있다. 축축한 땅을 찾아 나왔다가 죽은 지렁이, 먹을 것을 찾아 나왔다 죽은 개미 같은 작은 생명도 우리가 만날 수 있는 로드킬이라 생각한다. 삶을 살아보기 위해 태어난 생명을 소중히 하는 마음을 느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QR코드를 인식해 오디오북으로 들을 수 있으니 이 책을 만난다면 세상을 떠난 생명에 대한 미안한 마음을 꿈에서라도 전할 수 있었으면 하고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