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글랑 불턱의 아이들 햇살어린이 96
김현주 지음, 정인 그림 / 현북스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주 해녀의 꿈과 항쟁

돌글랑 불턱의 아이들/김현주 글,정인 그림/현북스 2023


일제강점기인 1931~1932년은 해녀들이 채취한 전복과 해산물에 대한 권리를 인정받지 못하고 일제에 저항한 해녀들의 항일운동이 한창이던 시기이다. 이 시기 해녀들이 한 시위가 230회가 넘는다고 책 마지막에 간략하게 정리되어 있다. 제주 해녀들의 항일 운동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가 [돌글랑 불턱의 아이들]이다.


김현주의 [돌글랑 불턱의 아이들]은 현북스의 1회 역사동화 공모전에서 심사위원 추천작으로 뽑혔다. 제주 똥군해녀 돌킹이가 해녀로서 삶을 시작한 이야기, 일제가 어떻게 해녀들을 착취하였는지, 해녀들은 생존권을 위해, 일본에 저항하기 위해 어떻게 했는지를 바탕으로 한다. 불턱에서 숙대낭쪽으로 던진 돌멩이로 경성에서 온 은세와 만나면서 13살의 새로운 만남과 설렘의 이야기, 해녀로 살기로 마음먹은 돌킹이의 꿈에 대한 이야기는 어려운 현실에서도 희망과 설렘을 보여준다.


[돌글랑 불턱의 아이들]은 제주에서 일어났지만 잘 모르는 항일항쟁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남자들만의 항쟁이 아니라 여자로서 자신의 생존권을 지키기 위한 주체적인 모습이라 하겠다. 또한 제주에서만 전해오는 설문대할망이나 지드림같은 제주 설화와 풍속을 접할 수 있었다. "돌글랑, 족쇄눈, 질구덕, 돌래턱, 숨비소리, 빙삭빙삭"같은 제주말을 소개해 제주에 대해 알 수 있는 기회였다. 서울에 살고 있는 저자가 제주 방언이나 제주말을 접하고 제주의 해녀 문화를 알고 소개하기 위한 노력이 엿보였다.


2016년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등재된 제주 해녀다. 문화유산 등재란 아름다운 모습만 알리기 위한 게 아니다. 일제강점기 자신의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투쟁했던 제주 해녀들의 모습을 늦었지만 이제라도 알게 되어 감사하다. 우리 역사를 바로 알고 올바르지 못한 역사를 반복하지 않기를 지금을 사는 우리가 좀 더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있기를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