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얀빛의 수수께끼 웅진책마을 117
김영주 지음, 해랑 그림 / 웅진주니어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장 중한 것

하얀빛의 수수께끼/김영주 글/해랑 그림/웅진주니어


[하얀 빛의 수수께끼]

요즘 수수께끼를 즐겨 하는 아이와 함께 하얀 빛이 무엇을 말하는 건가 찾아보고 싶었다. 표지를 가득 채운 흰 연꽃과 가운데 두 사람이 주고받는 수수께끼는 과연 무엇일까? 혹 시 흰 연꽃의 답?


김영주 작가는 [하얀 빛의 수수께끼]는 창이가 부엌에 들어가 요리를 하는 아버지 때문에 놀림을 당하며 시작한다. 숙수(예전 궁중 요리사)인 아버지처럼 자신은 숙수가 되기 싫다고 하자 아버지는 자신이 내는 수수께끼를 임금의 화성 행차 준비에 따라가 임금이 오기 전에 풀면 숙수가 되지 않고 창이가 하고 싶은 일을 해도 좋다고 한다. 창이는 숙설소(숙수들이 음식을 준비하는 임시 부엌)에서 일을 배우면서 아버지가 낸 수수께끼의 답을 찾아가는 이야기다.


[하얀 빛의 수수께끼]를 통해 세 가지를 알 수 있었다.

첫째, 익숙한 듯 익숙하지 않은 숙수의 삶이다. 드라마 대장금을 통해 궁중 요리사의 삶을 보긴 했지만 드라마에서 나온 건 여자 요리사였다. 하지만 실제 궁중요리사 숙수는 남자들이었다. 임금님의 행차에 맞춰 미리 가서 준비를 해야 하니 어쩌면 당연할 수 있다. 물을 나르는 수공, 물을 끓이는 탕수색, 술을 빚는 주색장, 떡이나 한과를 만나는 병공, 두부를 만드는 포장까지 내부를 엿볼 수 있는 기회였다.


둘째, 수수께끼를 푸는 일이다. 요리하는 곳을 이리저리 다니며 일을 도우면서 '하얀' 요리 재료를 추려본다. 소금, 쌀, 콩, 진가루(밀가루) 까지 하나하나 수수께끼에 맞는지 추리해 보는 재미가 있다. 수수께끼가 요리와 관련된 하얀 재료라는 걸 아는 순간 나도 내가 음식을 할 때 쓰는 하얀 재료 먼저 챙겨 보았으니까. 과연 창이가 찾는 답은 무엇인지 함께 찾아볼 수 있다.


셋째, 직업을 대하는 자세다. 숙수들은 어쩌면 임금님 행차에서 가장 눈에 띄지 않는 일이다. 음식을 차리는 전면에도 등장하지 않는다. 창이 아버지는 동료에게 부탁해 창이 가장 기본이 되는 일부터 가르치고 싶다면서 물을 길어오는 일을 먼저 하도록 한다. 숙설소에 숙수들은 물을 지어 나르고 끓이는 일, 쌀이나 콩을 씻으면서도 마음을 다해 물을 붓고 자신이 맡은 일에 정성을 다한다. 아무리 사소해 보이는 일이라도 기본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 마음이 얼마나 중요한지 되새기는 시간이었다.


"우리는 때때로 다른 사람의 시선에 휘둘려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게 무엇인지, 가장 중요한 건 무엇인지 생각하지 못해요. 친구가, 부모님이 주위 사람들이 무어라 생각할까, 싫어할까, 신경을 쓰느라 정작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지 못하죠.

여러분은 어때요? 자신의 마음을 잘 들여다보고 있나요? " -작가의 말 중에서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펼친 책이었다. 책의 말미엔 내게 묻는다. 작가의 말을 통해 작가가 독자에게 했던 말을 나 스스로에게 하며 난 어떤가? 내 아이들은 어떤 삶을 살도록 할 건가 묻는다. 자기 삶에 고민하고 어찌 살지 답을 찾으려거든 창이를 만나봤으면 좋겠다.


"네 신분 생각은 잠시 접고 뭐든지 여러 가지 일을 경험해 보는 게 좋겠다. 꼭 숙수가 되지 않아도 된다만, 깊게 여러모로 생각해 본 다음 결정하는 게 좋겠구나. 뭐가 되든지 네가 가장 마음이 가는 일을 택하여라." (5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