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 부마민주항쟁 천천히 읽는 책 59
차성환 지음 / 현북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키자! 민주주의!

1979부마민주항쟁/차성환/현북스2023


5·18민주 항쟁은 많이 들어봤지만 부마민주 항쟁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건 얼마 되지 않았다. 그만큼 내가 관심을 갖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많이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이기 때문일 것이다. 현북스에서 나온 [1979부마민주 항쟁]을 만나 어렴풋하던 부마민주 항쟁이 좀 더 선명하게 다가왔다.


차성환 작가는 아이들에게 부마민주 항쟁이 어떻게 일어났는지, 부마민주 항쟁으로 바뀐 역사, 우리에게 남겨준 교훈에 대해 이야기하듯 들려준다. 부산 학생들 중심으로 1979년 10월 16일 시작되었고, 소식을 들은 마산에서 10월 18일일어난 항쟁을 함께 부마민주 항쟁이라 알려준다. 박정희의 유신 체제(1972년 10월 17일 헌법을 짓밟아 국회를 해산시키고, 군대를 동원하여 계엄령을 선포한 후 만들어낸 독재정치 체제)에 대항하여 부산과 마산지역 학생들을 중심으로 일어난 항쟁이다. 10월 26일 중앙 정보부장 김재규가 박정희 대통령을 쏜 사건은 절대 권력 위에 세워졌던 유신 체제가 무너지는 부마민주 항쟁의 마지막으로 기록되었다.


하지만 박정희 대통령이 죽은 후 전두환과 하나회 군인들은 12·12 쿠데타, 5·17 군사 쿠데타로 군대의 실권을 쥐고 국가권력을 손아귀에 넣으려고 했다. 1980년 5월 18일의 광주 민주화운동으로도 전두환의 군사독재를 막지는 못했지만 6월 항쟁과 계속된 노력으로 결국 군사독재를 몰아냈다.


우리가 지금 누리고 있는 민주주의의 역사는 50년이 채 못된다. 당연하게 국민이 나라의 주인이라 외치며 모든 주권은 국민에게 있다는 헌법의 이념을 이루기까지 민주 항쟁으로 얼마나 많은 피와 함성이 있었는지 기억해야겠다. 주인이 주인 노릇을 제대로 하려면 역사를 제대로 기억하고 잘잘못을 판단한 지혜를 키워야겠다. 현북스의 천천히 읽는 책[1979 부마민주 항쟁]을 읽으면서 우리 현대사를 짚어보고 아이와 함께 이야기 나누면 좋겠다.


국민이 나라의 주인 노릇을 하려면 그냥 머릿속으로 그런 생각을 한다고 되는 게 아니야. 대통령이든 누구든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국민의 심부름꾼이라는 사실을 잊어버리고 국민을 무시하고 억압하면 분노하고 싸울 용기와 지혜가 있어야 하는 거야.(12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