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뜰 햇살어린이 80
길지연 지음, 김혜원 그림 / 현북스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을 꿈꿀 수 있는 뜰

고양이뜰/ 길지연 글/김혜원 그림/현북스


현북스의 [고양이 뜰]은 아빠가 출장 중에 죽자 엄마와 신도시로 이사 온 가이가 슬이라는 친구를 만나 함께 경험하는 이야기다. 버려진 건물에 사는 고양이와 고양이를 돌보는 아저씨, 아빠가 살아있을 때부터 동물보호 활동을 해 온 가이와 엄마, 돌에 대한 전설을 이야기하는 할머니, 떡볶이 아줌마, 그들을 연결하는 슬이를 통해 살아가는 게 무엇인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묻는다.



길지연 작가의 [고양이 뜰]은 고양이와 살아가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 길거리 동물의 삶, 구조와 구조 후 삶에 대한 이야기만으로도 새로웠다. 일요일 아침이면 아이들과 함께 보는 <동물농장>이라는 프로를 통해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고양이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조하면 좋은지, 길거리 동물의 삶이 어떤지에 대한 이야기는 처음 접하는 부분도 있어서 흥미로웠다.



작가 길지연은 작가의 말에는 자신이 경험한 G백화점 맞은편에 있는 흉흉한 건물과 그 안을 드나들던 길고양이들과 이름 없이 살다간 작은 생명들의 영혼에 대한 위로의 뜻을 담은 책이라 밝히고 있다.



나는 [고양이 뜰]을 통해 각자 자기가 보고 느끼는 삶을 살고 있구나 싶었다. 길거리에 버려진 개와 고양이를 보면서 엄마는 건물 속의 고양이와 개들을 걱정하고, 슬이는 아저씨에 대한 호기심만을 가지고, 가이는 아저씨를 걱정하고 있다. 사람은 자기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게 무엇인지에 따라 볼 수 있는 것도 모두 다를 뿐이다. 작가 길지연은 여기서 끝내지 않는다. 함께 살아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도 한다. 다름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면 우린 함께 살 수 있다.


 가이가 슬이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친구가 되었고, 전설의 할머니도, 아저씨도, 떡볶이 아줌마도 그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공감하면서 함께 할 수 있게 되었다. 다름을 이해하는 데는 시간이 필요하다. 조금씩 마음의 문을 열어가면서 대하면 어떨까?



가이의 아빠는 '제각기 다른 모습은 신이 주신 특별한 선물'이라고 가이에게 말했다. 우리 모두 제각기 다른 모습을 가지고 살아가기에 답은 정해져있지 않다. 제각각 다른 모습이기에 우린 다양한 삶을 보면서 학습할 수도 있다. 아저씨가 어릴 적부터 동물들을 보살피는 걸 좋아했던 삶을 살면서 결국은 <고양이 뜰>을 만들어 함께 살 수 있는 방법을 찾은 것처럼 나에게 주어진 지금을 어떻게 살지 돌아보게 한다.



'뜰'하면 뭔가 정감있게 느껴진다. 뜰은 누군가가 들어와서 함께 있어도 따뜻한 공간이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 뜰을 가꾸기를 원한다. 자기만의 공간과 시간이 자기 뜰이 아닐까 싶다. 자기 뜰을 가꾸면서도 다른 사람을 인정하는 마음이 가득할 때 우리의 뜰은 더욱 아름답고 행복한 우리 인생에서 가장 좋은 시간일 거라 믿는다.



작가 길지연은 작가의 말에는 자신이 경험한 G백화점 맞은편은 흉흉한 건물과 그 안을 드나들던 길고양이들과 이름 없이 살다간 작은 생명들의 영혼에 대한 위로의 뜻을 담은 책이라 밝히고 있다. 집고양이와 길고양이를 돌보는 길지연 작가의 따뜻한 마음이 담긴 책 [고양이 뜰]을 만나보면 좋을 듯하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