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를 읽는 시간 더 나은 미래, 과학 Pick! 3
제시카 스톨러-콘라드 지음, 이장미 그림, 이현경 옮김 / 픽(잇츠북)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자의 자세로 날씨를 읽어보자

날씨를 읽는 시간/제시카스톨러콘라드 글/이장미 그림/이현경 옮김

 

아침에 눈을 뜨면 날씨부터 확인한다. 추운지 더운지. 집 문밖을 나서면 저 멀리 보이는 산이 어느 정도 보이는 지로 대기오염 상태를 확인하며 하루를 시작한다. 학생 때부터 날씨에 관한 이야기가 재미있었고, 부모가 된 지금은 오늘 날씨를 확인해 아이들에게 알려주는 게 생활이다. 날씨를 읽는다. 그래. 매일 날씨를 읽어왔다.

 

 

[날씨를 읽는 시간]을 통해 날씨를 더 체계적으로, 과학적으로 읽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날씨는 과학이다. 그래서 책을 읽기 전 과학적 방법에 대한 설명을 먼저 해준다. 초등학교 과학시간에 과학자의 자세, 가설을 세우고 실험하는 내용에 대한 이야기는 배우지만 다시 한번 짚어줌으로써 과학자의 마음을 갖게 해준다.

 

[날씨를 읽는 시간]은 <날씨의 기초>,< 가장 흔한 날씨>,< 날씨와 자연재해> 셋으로 먼저 나눈 후, 그 속에 작은 제목으로 날씨에 대해 설명한다. 날씨의 기초는 과학적 방법으로 만나는 날씨라는 소제목 아래 이 책을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또 날씨와 기후의 차이를 설명해 준다. <가장 흔한 날씨>는 우리 생활에 밀접한 바람, 구름, 비, 눈, 안개, 모래폭풍을 넣어 각각에 기초실험과 심층탐구, 야회활동을 해보도록 구성되어 있다. <날씨와 자연재해>는 토네이도, 허리케인, 산불, 얼음 폭풍으로 나누어 어떻게 발생하는지, 그리고 자연재해를 피하기 위한 방법과 자연재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을 직접 설계해 보도록 한다. 각각에 대한 이론을 설명한 후 실험에 들어가기 전 토막 상식이 있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날씨를 읽는 시간]에서 좋았던 점은 첫 번째는 생활에 밀접한 날씨를 기초실험, 심층탐구, 야외활동으로 나누어 실험이 구성되어 있어, 개념을 잡기 위한 간단한 기초실험을 한 후 아이가 관심을 보인다면 심층탐구와 야외활동을 해볼 수 있다는 거다. 다양한 실험 중 가장 흥미로웠던 건 안개와 스모그에 대한 실험이었다. 아이와 장갑을 넣었다 뺐다(기압변화) 하면서 병 속에 생기는 변화를 신기하게 보았다. 겨울이라 그런지 눈에 관련된 실험도 아이의 관심을 끌었다. 두번째는 모르는 단어가 있으면 뒤쪽에 용어 풀이가 있으니 바로 찾아볼 수 있어 개념을 잡기에 좋았다. 세번째로 좋았던 오랜 기간날씨픞 평균적으로 확인하는 실험과, 인터넷이나 TV를 활용하여 날씨에 대한 자료를 모아 분석하고 통계를 내 볼 수 있도록 하는 점이다. 기상학자가 하는 일이 이런거라며 말해주니 "진로체험학습이네. "말한다. 책만 읽는 게 아니라 해보고, 직업체험까지 했으니 일석삼조다.

 

 

처음엔 표지의 글씨, 안쪽 작은 제목의 글씨 모양과 크기가 들쭉날쭉 안정감이 없다고 생각했다. 도대체 무슨 글씨체가 이런가? 그런데 책을 다 읽고 나니 변화무쌍한 날씨가 글씨체에도 반영된 듯 보이기 시작했다. 날씨를 읽는 시간을 보면서 데워진 공기가 계속 위로 올라가기만 하니 물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지구온난화가 이루어지고 그로 인해 발생되는 자연재해까지 계속 물려돌아간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하면서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방법을 실천해야지 아이와 다짐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