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겁한 구경꾼 그래 책이야 48
조성자 지음, 이영림 그림 / 잇츠북어린이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확증편향을 물리치는 방법

비겁한 구경꾼/조성자 글/이영림 그림/잇츠북어린이



"맞네. 강모네. "


모네는 자신을 향해 달려온 낯선 아이를 보며 "멍청한 아이 같으니라고" 하면서 부정적인 감정을 갖는다. 그 아이는 2학년 때 프랑스로 갔다가 2년 만에 한국으로 돌아온 보미였다. 보미는 반가운 마음을 표현했을 뿐이다. 하지만 곁에 있던 서희는 모네가 보미와 친해질까 봐 중간에서 보미의 안 좋은 이야기를 하면서 모네에게 보미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부추긴다.


모네는 처음엔 서희의 말을 들으면서 보미가 점점 더 마음에 안 든다고 느낀다. 어느 날 보미가 짝인 말더듬이 명철이와 우유갑을 정리하려 갔다가 옆반 아이들이 둘을 놀린다. 명철이는 보미가 그런 대우를 받는 걸 참지 못하고 옆반 아이와 싸우고 어디선가 몰래 지켜본 서희는 명철이와 보미의 이야기를 거짓으로 꾸며 말한다. 소문은 삽시간에 진짜처럼 퍼진다. 어디선가 지켜본 건 서희만이 아니었다. 모네도 지켜보았지만 서희가 말한 내용이 사실이 아니라는 걸 알면서 서희가 진짜 친구인지 의심한다. 점점 나쁜 거짓말을 해가는 서희, 그로 인해 아이들에게 거짓말쟁이라 불리는 보미, 사실을 밝히지 못한 모네.


선생님은 '거짓 없는 마음을 담은 편지 쓰기' 활동을 제안하면서 2년 전 보미가 선생님에게 보낸 편지를 서희가 읽도록 한다. 그리곤 진행된 편지 쓰기에서 모네는 자신과 보미에게 편지를 쓴다. 서로가 서로에게 거짓 없는 마음을 담은 편지 쓰기 활동을 통해 자신이 잘못한 것이 무엇인지 느끼면서 친구에게 하고 싶은 말을 편지로 써 마음을 표현하면서 반의 분위기는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고 따뜻한 분위기로 바뀌었다. 하지만 모네는 비겁한 구경꾼이었다. 자기가 본 사실을 사실대로 밝히지 않고 그 상황이 서서히 무마되었으니 모네의 비겁한 구경꾼의 모습은 사라지지 않는다. 하지만 모네는 이번 일로 자신이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배웠을 거라 생각한다.


비겁하다는 건 떳떳하지 못하고 겁이 많다는 뜻이다.(다음 사전) 비겁하지 않으려면 2가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비겁에 맞설 수 있는 진정한 용기와 현실을 자기 시각에서 보는 것이 아니라 사실대로 보려는 자세다. 그것이 자기 이익에 반할 때 용기는 더욱 필요하다. 모네가 2년 만에 만나 반가워야 할 친구 보미의 첫인상을 멍청한 아이라 규정하면서 보미의 모든 행동이 마음에 들지 않게 되니 말이다. 서희는 모네를 보미에게 빼앗기고 싶지 않은 마음에서 보미를 모네 곁에 있을 수 없는 나쁜 아이로 몰아간다.


조성자 작가는 작가의 말에서 열한 살 즈음 오랫동안 씻지 않아 추레한 모습의 아줌마를 아이들이 에워싸고 괴롭히는 모습을 보면서 자신이 그 아이들을 말리지 못했던 경험을 이야기하면서 확증적 편형에 대한 이야기를 써보고 싶었다고 했다.


확증적 편향이란 자신이 믿고 싶은 것만을 믿는 것을 말한다. 자신의 주장을 부정하거나 반대하는 증거는 무시하는 것을 말한다. (작가의 말 중에서)


확증적 편향에 대한 설명을 보면서 가짜 뉴스가 떠올랐다. 일부 사실만을 떼어 자기가 각색해서 원하는 내용으로 만들어 배포하는 가짜 뉴스. 하지만 우리는 진짜 뉴스보다 가짜 뉴스를 접할 기회가 참 많다. 가짜 뉴스에 흔들리지 않고 제대로 된 판단을 내리려면 사실을 사실 그대로 찾고 받아들이는 자세를 가져야겠다. 선거나 위기 때 유난히 많이 퍼지는 가짜 뉴스가 뿌리내리지 못하게 하려면 우리 스스로가 정확한 판단을 내릴 힘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가짜 뉴스에 대항해 진실을 말할 수 있는 힘도 길러야겠다. 나도 작가처럼, 모네처럼 비겁하게 다른 사람이 해주겠지 하면서 뒤로 물러난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자신이 사실을 그대로 판단하고 용기를 내서 한 행동은 다른 사람의 인생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