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치야 독도야 동해바다야 - 주강현 선생님이 들려주는 우리 땅 독도 이야기 천천히 읽는 책 48
주강현 지음 / 현북스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대로 알고 제대로 행동하자

강치야 독도야 동해바다야/주강현 /현북스

독도(獨島).  지도로 우리나라 동쪽 끝에 있는 작은 섬. 가제도 또는 가지도(가제는 강치의 또 다른 이름)로 불리기도 했던 섬. 역사를 거치면서 우산도, 삼봉도, 가지도, 석도, 독도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지만 언제나 우리 땅이었던 곳. 지금 독도는 우리의 관심을 더욱 바라고 있다. 독도를 지키고자 한다면 제대로 알고 제대로 행동하자.

학교 다닐 때 <독도는 우리 땅> 노래를 부르며 외우고 독도를 지키는 게 대한민국 국민으로 해야 할 일이라 배우기도 했다. 하지만 어떤 증거로 독도가 우리나라 땅인지, 무엇 때문에 중요한지에 대한 설명은 거의 듣지 못했다. 찾아보지도 않았던 나 자신을 지금이라도 반성한다. 주강현 작가의 [강치야 독도야 동해바다야]를 통해 지금은 사라지고 없는 동물 독도 강치를 소재로 독도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걸 모르는 대한민국 사람이 있을까? 하지만 독도가 무엇 때문에 중요하고 독도를 지키기 위한 조상의 노력을 다시금 살펴보면서 지금 우리가 독도를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독도는 무엇 때문에 우리에게 중요할까?  첫째, 독도는 다양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바다의 조건으로 한류성, 난류성 어류와 생물이 다양하다. 덕분에 풍부한 어족자원을 가지고 있다. 둘째, 독도는 다양한 광물자원이 숨겨져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 발견된 자원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시점에서 아직 연구되지 않은 독도는 보물 상자와 같다. 셋째, 독도는 지질박물관이다. 기원전 용암이 솟구쳐 만들어낸 화산섬으로 바다산의 진화 과정을 알 수 있는 중요한 곳이다. 넷째, 독도는 우리나라 동쪽 끝의 땅으로 우리나라 영해를 확장시켜 준다. 다섯째, 독도는 바닷길의 중심이다. 대륙에서 다른 대륙으로 건너가기 위한 중심에 우리 독도가 있다.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 우리가 독도를 제대로 지킬 수가 있다. 억지 논리로 자기 땅이라 하는 일본에 대항해서 역사적 사실을 제대로 알고 있어야 대항할 수 있다. 작가 주강현은 어린이가 역사를 제대로 알 수 있도록 독도가 우리나라 영토로 기록된 우리나라와 외국의 고대 지도를 자료로 제시해 준다. 독도와 울릉도의 역사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연표도 실어주었다.

  용암이 솟구쳐 만들어진 화산섬 독도.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독도를 이사부가 우산국을 신라로 편입하면서 우리나라의 역사에 기록된다. 육지에서 떨어진 섬이라 무시당하던 때도 있었고, 공도를 만들어 관리 대상에서 제외한 적도 있었다. 하지만 독도는 엄연히 우리나라의 땅이다. 우리가 제대로 알아야 우리 독도를 지킬 수 있다. 미래를 살 아이들에게 제대로 된 우리 영토를 물려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려면 몇몇의 지식인이 아닌 우리 국민 모두가 제대로 알아야 제대로 지킬 수 있다. 사이버외교사 설단 '반크(www.prkorea.com)'는 독도와 동해에 대해 다른 인식을 하도록 힘쓰고 있다. 어른인 나도 몰랐던 사실이 가득 실린 책이다. 아이에게 제대로 된 독도의 역사와 우리가 독도를 지켜야 하는 까닭을 새기면서 본다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