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서 돌이 쿵!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278
존 클라센 글.그림, 서남희 옮김 / 시공주니어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함께! 지금! 여기!

하늘에서 돌이 쿵!/존클라센 글,그림/서남희 옮김/시공주니어

 

 

존 클라센의 그림은 화려하지 않다. 단순하고 등장인물도 많지 않다. 배경마저도 자극적이지 않고 한 톤 가라앉은 느낌이다. 아이들은 가볍게 웃고 넘어갈지 모른다. 아니면 이해가 안 간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존 클라센의 그림책을 보면 내 입장에선 생각이 많아진다. 다른 때보다 좀 더 두께감이 있는 [하늘에서 돌이 쿵!]은 어떤 생각으로 이끌지 설레는 책이었다.

[하늘에서 돌이 쿵]은 크게 다섯 개의 작은 이야기가 연결되어 펼쳐진다. 존 클라센은 [하늘에서 돌이 쿵!]을 통해 3가지를 말한다.

첫째, 아집(我執: 자기중심적인 생각이나 좁은 소견에 사로잡힌 고집)에 빠져 있게 되면 상황을 제대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거북이가 꽃이 있는 곳에 있으면서 자기는 이곳이 좋다고 한다. 아르마딜로가 함께 하려고 왔다가 느낌이 좋지 않다면서 다른 쪽으로 가서 거기가 더 좋다고 말하지만 거북은 다른 이의 말은 들으려 하지 않는다. "내 자리가 더 좋아."라는 자기 의견을 받아들이게 하기 위해 아르마딜로가 있는 곳으로 가서 다행히 커다란 돌이 쿵! 떨어지는 순간 위험을 피하자 눈이 동그랗게 커진다.

둘째, 소통이란 무엇인지를 생각해 보게 한다. 소통이란 잘 통한다는 말이다. 다른 이의 말을 얼마나 열린 마음으로 들을 수 있느냐, 공감하느냐가 바로 소통의 조건이다. 함께 같은 공간에 있는 것만이 소통이 아니라 생각을 나누고 마음을 나누는 것임을 말한다. 함께 이야기 나누긴 했지만 '넌 아니야'하는 마음은 소통을 위한 기본자세조차 갖지 못했다 하겠다.이심전심(以心傳心)이라 했는데 평소 마음을 통하려 하지 않았기 때문에 같은 공간에 있지만 통할 수 없었던 건 아닐까 싶다.

셋째, 자기가 머무르는 곳에서 생각과 행동이 얼마나 중요한지 생각해보도록 한다. 돌에 기대어 해넘이를 보고 있는 아르마딜로와 뱀이 해넘이를 보고 있다고 아무리 말해도 들리지 않는다는 거북을 보면 답답하다. 자기가 있는 곳에서 고개만 돌려도 지금 상황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느낄 수 있을 텐데 안타깝다.

존 클라센의 [하늘에서 돌이 쿵!]을 보고 맞은 명절이어서 였을까? 명절을 지내면서 자기만의 세계를 고집하는 사람과 함께 하는 불편함을 느꼈다.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게 마음을 조금만 연다면 모두가 즐거운 명절이 될 수 있을 텐데 싶었다. 같은 공간에 있어도 다른 세계에 떨어져 있는 듯 하는 행동도 불편하게 느껴졌고, 이 순간을 함께 하지 못하는 모습이 안쓰러웠다.

자기 세계를 갖는다는 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함께 살아야 하는 상황에서 다른 사람을 향한 열린 마음을 갖고 소통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본다. 자기만 옳다는 생각에 빠지면 위험을 알아차릴 수도 없고, 자존심에 도음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도와달라고 하지도 못할 수 있다.

나는 어떤 모습일까 돌아보게 한다.

나는 열려있나? 나는 소통하고 있나?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