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모로 산다는 것 - 왕권과 신권의 대립 속 실제로 조선을 이끌어간 신하들의 이야기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떤 참모로 살아갈까?

참모로 산다는 것을 읽고

 

    

표지에 있는 參生. 내가 알고 있는 말고 다른 뜻이 더 있는 것 같아 찾아보았다.

 

()는 별과 사람의 모양이며 별을 사람에 비유한 것, 터럭삼(무늬, 빛깔, 머리, 꾸미다)는 빛을 나타냄. ()은 별빛의 빛남, 나중에 오리온 별자리를 가리킴,(네이버 한자사전)

 

별과 사람에 비유해서 만들어졌지만 별빛의 빛남을 나타내기도 한다는 점이 와 닿았다. 참여한다는 뜻의 참모로 쓰이지만, 왕이 최고인 시대에 왕을 더욱 빛날 수도, 그렇지 않게 할 수도 있는 별. 그게 참모라는 뜻과 참 통한다 싶었다. 가까운 시대 조선이라 잘 아는 듯 하지만 몰랐던 게 많은 조선. 왕이라는 빛 곁에서 함께 빛나기도 하고 그 빛을 잃게도 했던 참모로서 신하들의 삶을 만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신병주의 참모로 산다는 것40명의 참모를 왕조의 설계, 기틀을 다지다, 폭군의 실정에 흔들리다, 임진왜란, 광해군의 그림자 속 참모들, 명분과 실리 사이, 당쟁과 갈등 7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내가 알고 있는 정도전, 조광조, 장영실, 서거정, 한명회 같은 조선 초기 참모들 삶의 다른 면을 보는 기회가 되었다. 그리고 중기 후기로 갈수록 내가 관심 두지 않아 모르는 참모들이 많았구나 알았다.

 

참모 하면 보통 정치적 영향력이나 문장력이 뛰어난 사람을 주로 소개한다. 신병주는 성종을 도와 악학궤범을 편찬하면서 학술, 예술에 앞장선 성현, 일본군 선봉장 사야가로 왔다가 우리나라에 귀화해 우리나라를 지키는데 앞장섰던 김충선, 짧은 인연이지만 큰 의미를 남긴 김인후, 위기를 극복에 앞장섰던 류성룡, 장만, 당쟁의 역사를 정리한 이건창 등을 소개했다. 또한, 왕에게 빛이 되는 참모뿐 아니라 장녹수, 김개시같이 어둠이 되었던 참모를 같이 소개하고 있다. 그래서일까? 역사의 밝은 면과 어둠이 함께 하고 그 시절을 어떻게 극복해갔는지 지금 우리가 보고 느낄 수 있게 해주었다.

 

참모는 왕을 더 빛나게 해줄 수도 있고, 왕의 눈을 흐릴 수도 있다. 어떤 참모를 내 곁에 둘 것인지 보는 왕도 날카롭지만, 왕의 곁에서 주가 아닌 부로서의 삶을 받아들이고, 왕 곁에서 밝고 환한 눈을 가질 수 있게 해주는 참모가 진정한 참모였다는 생각이 든다. 현재의 대한민국을 보면서 역사 속 참모의 모습이 되살아 나는 듯했다. 역사는 반복된다고 말한다. 반복되는 역사 속에 우리는 누군가의 참모로 살아갈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나는 어떤 참모로서의 삶을 살 것인가? 내가 사는 삶이 과연 어떤 의미가 있을까? 되짚어 보는 시간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