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검다리 - 어느 난민 가족의 여행 철학하는 아이 10
마그리트 루어스 지음, 이상희 옮김, 니자르 알리 바드르 사진, 정우성 해설 / 이마주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나의 돌이 되어.

『징검다리』를 읽고


 어릴 때 시골 큰 집에 놀러 가면 개울에 놓여 있는 징검다리를 건너며 노는 게 재밌었다. 적당한 크기의 돌을 주워 놓으며 징검다리를 만들어가면서 너머로 건너가면 땅과 연결되었다. 마그리트 루어스는 왜 책의 제목을 징검다리라 했을까? 내 경험을 끌어와 생각해보게 된다.

 『징검다리』는 마그리트 루어스가 글을 쓰고, 시리아 작가인 니자르 알리 바드르가 돌을 구성하여 화면을 엮은 책이다. 동글동글 둥글려진 돌이 얼마나 오랜 시간을 견뎌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얼마나 많은 시간을 견뎌내야 하는지 의미를 담고 있는 듯 했다. 시리아 자연 돌을 그대로 가져다 구성한 난민들의 모습은 얼굴에 표정이 없지만 화면마다 표정이 느껴졌다.

 화면에 떠 있는 달도 매 쪽마다 거기에 어울리는 둥근 다른 달을 찾아 얹어 표현되어 있다. 때로는 검고 차가운 느낌의 달, 때론 하얗고, 노란 온기를 품고 있는 달. 달만 보아도 그 분위기가 느껴질 정도이다.

 라마 가족이 다시 뭍에 이르러 심은 씨앗은 나만 자유롭게 된 것에 만족하지 않고 함께 하지 못한 많은 사람을 기리기 위함에 마음이 따뜻해졌다. 계속된 걸음으로 도달한 미래에서 마음 따뜻한 사람을 만나고 희망을 찾은 라마가족. 하지만 라마는 묻는다.

 

이곳에서 우리 오래오래 살 수 있을까요?

언젠가는 돌아가야 할까요?

 

이곳에는 

새로운 추억, 새로운 희망,

새로운 꿈이 있어요.

전쟁이 없고

평화가 있어요.

 

 제목인 징검다리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본다. 징검다리. 없는 곳에 새로운 돌을 놓아 만들어가는 다리. 우리는 난민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고 생각했는데 제주도에 예멘 난민들이 들어왔다. 이 책을 보면서 우리가 난민들을 어떻게 해야 할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된다. 내 나라를 떠나 떠돌아다니는 난민. 늘 환영보다는 배척받는 난민들의 물음. 난민들도 이 세상의 한 구성원인데 우리가 놓아준 징검돌로 희망으로 향해가지 않을까?

아직 살만한 세상. 함께 살아가는 세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