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지도로 읽는다 지리와 지명의 세계사 도감 1~2 세트 - 전2권 지도로 읽는다
미야자키 마사카츠 지음, 노은주 옮김 / 이다미디어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사 여행 알고 하면 재밌다!

중고등학교 다니면서 지리와 조금 관심은 있었다. 하지만 세계사가 시작되면서부터 밑줄 긋기가 시작되었고 어떤 흐름인지 의미인지 설명이 없는 선생님 이야기를 들으면서 어렵다, 재미없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어른이 되어서야 역사는 흐름이라는 걸 알았지만 다시 공부해서 머리속에 넣기 쉽지 않았다.

 그러다 미야사키 마사카츠의 <지리와 지명의 세계사 여행>을 만났다. 그리고 이제야 지리나 세계사를 좀 더 쉽게 재미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도감'이라는 단어는 보통 식물이나 동물에 쓰는 단어인데 세계사 도감이라는 말이 어색하고 안 어울려 보였다. 하지만 1장부터가 아니라 서장부터 시작하는 책을 보면서 아! 하는 생각이 들게 해주었다. 우리가 문명의 발생지는 4대강 유역이라고 하면서 달달 외웠던 지도가 지명을 연결하니 쉽게 들어왔다. 강이름에  '하천'이라는 뜻이 이미 포함되어 있었던 것이다.  우리가 아는 지명의 기원을 밝혀 그 뜻을 적어두어 이해가 쉽도록 해주었다.

 1장부터는 문명이 어떻게 흘러가는지를 설명하는 큰 목차, 작은 목차를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대륙의 명칭도 기원이 되는 단어를 밝혀 읽으니 훨씬 이해가 쉬웠다.

나라 이름은 또 어떤가? 처음 만나는 각 나라의 이름에 "이런 뜻이었어?" 하는 생각이 먼저 나고, 그 위치까지 같이 연결지어 볼 수 있었다.

 지금까지 내가 했던 공부를 이렇게 조근조근 잘 설명해주고 이야기가 더해져 있는 책이었다면 이해가 훨씬 쉬웠겠구나 싶었다. 지리는 당연히 지도를 보면서 한다고 생각하지만 세계사의 흐름을 지도로 , 그런 이름과 흐름이 같이 더해져 보니 훨씬 가깝게 와 닿았다.  표지에 "지도로 읽는다"는 말이 이 책에 딱 어울리는 말인것 같다.
 
 세계사는 말 그대로 세계의 역사이므로 우리가 인물과 지역명으로 이해하기에 낯설고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하다보니 어려웠다. 하지만 인물 중심이 아닌 지도를 통한 흐름을 보여주는 책을 만나니 역사의 흐름을 느낄 수 있었다. 과거, 현재, 그리고 앞으로 미래의 모습을 어떻게 될지 세계사에 비추어 이해할 수 있을 듯했다.

 넓은 지역을 지도에 담는 경우는 가로로 지도가 놓여 돌려가며 읽는 불편함이 가끔 있지만 세계사를 보는 눈은 이렇게도 저렇게도 볼 수 있는 눈이어야 하지 않을까? 마음의 문을 열고 책을 만난다면 세계의 지명과 역사에 더욱 친해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