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의 작별
치넨 미키토 지음, 민경욱 옮김 / ㈜소미미디어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 [두 번의 작별]은 조금은 무모하지만 동생을 지키기 위한 형의 충격적인 방법과 형의 태도에 대한 반전이 몰고 온 잔상이 책을 덮어도 아직 남아 있다. 형제가 있는 독자라면 이 책을 읽기 전에 한번 생각해 보았으면 한다.


'난 나의 형제를 위해서 어디까지 할 수 있을까?' 

소설 [두 번의 작별]은 이 물음에 대한 최대의 답변이 아닐까..



쌍둥이 형 가이토, 동생 다케시, 운명의 장난이었는지 한 소녀를 둘이 같이 사랑한다. 다케시는 형을 태우고 진지한 이야기하기 위해 산을 향하다 사고를 당한다. 오토바이 이에 흘러나온 기름으로 불타오르는 현장에서 절벽에 매달려 있는 형의 왼손을 잡고 있는 다케시,, 기억은 하물 하지만 다케시가 손을 놓은 건지, 형 가이토가 손을 놓은 건지...

이날 사고로 가이토는 죽고, 다케시만 살아남았다. 하지만 왼쪽 손목부터 손끝까지는 가이토의 영역으로 가이토가 말을 걸어온다. 부모님은 그 사고로 다케시가 정신병에 시달리고 있다고 생각하고 병원에 입원시키려고 하는데....

그날 새벽 집을 나와 도쿄로 향하는 다케시.

도쿄에서 첫날밤을 보낸 후 다케시는 살인 현장을 발견한다. 우연히 자신이 살인 용의자가 되어버린 다케시...

형 가이토의 말대로 살인 현장을 도망친 후 그 사건의 배후를 쫓기 위한 이야기가 전개되는데...


그 사건의 배후가 스테이크와 관련 있다는 것을 알고 그 조직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그리고 소설 속 '아야카' 라는 인물을 작가는 왜 설정해놓았을까 끝까지 궁금해하며 읽었다. 남동생을 잃은 슬픔을 다케시로 대체하려는 생각은 현대 사회에 슬픔을 묻어 둘 곳은 없고 기댈 곳만 있다는 생각도 해보았다. 하지만 그런 모습보다는 안 야키의 반전의 반전에 더 놀랐다. 궁금한 이야기는 책을 읽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소설 [두 번의 작별]은 한 번 손을 잡으면 놓기 힘들 만큼 읽으면 읽을수록 뒷이야기가 궁금해지는 소설이다.

주인공 다케시는 처음엔 살인 용의자로 사파이어와 관련이 있는 스네이크 조직의 내무 고발자로 쫓기는 장면을 보면서 이 소설은 끝날 때까지 아직 끝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만큼 미스터리한 사건의 전말을 찾는데 많은 요소들이 있었다. 



그러나 문제는 외부가 아니라 다케시 자신에게도 있었다. .다케시를 생각하고 행동하게 하는 형 가이토의 영역에 조금 문제가 생기기 시작한다. 다케시는 가이토가 자신의 영역을 침범해 자신이 아닌 가이토가 자신의 몸을 지배할 까봐 두려움에 뜬다. 쌍둥이 형제라는 것을 생각하면 다케시의 실수로 형 가이토가 죽었는데 다케시의 몸을 형 가이토가 지배할 까봐 무서워하는 장면은 우리에게 많은 점을 알려주는 것 같다. 같은 유전자를 공유한 쌍둥이마저도 내가 아닌 다른 누군가가 자신을 대신할까 걱정하는 모습은 우리의 존재 자체가 사라진다는 두려움은 누구에게나 있다는 메시지가 아닐까 생각해 보았다. 


"내게는 말 그대로 존재가 걸린 문제야. 

'내'가 사라지는 거니까.

어떤 의미에서 살해되는 것이나 마찬가지야"

p_483



소설 [두 번의 작별]의 책 제목을 소리 내어 읽어 야 할 사람은 '가이토'가 아닐까. 왜 두 번의 작별을 할 수밖에 없는 이야기가 이 소설의 주된 내용이다. 이 소설은 인간 본성과 인간의 존재 자체를 건드린 면이 있어서 조금은 아슬아슬한 소설이라고 생각한다. 단순히 살인 용의자로 지목되어 도망자로서의 역할이 아니라 왜 그렇게 해야 했는지 그리고 다케시가 왜 그러한 행동을 하게 만든 가이토의 진정한 의도는 무엇인지 생각한다면, 이 책을 덮고 나서 생각할 거리가 아주 많은 소설이다. 

그래서 '난 나의 형제를 위해서 어디까지 할 수 있을까?'를 다시 상기시키며 서 서평을 마친다.


#두번의작별 #치넨미키토 #소미미디어 #서평 #일본소설 #책추천 #소설책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