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 - 잃어버린 나를 찾기 위한 뇌과학자의 자기감 수업
김학진 지음 / 갈매나무 / 2023년 9월
평점 :
이책의 저자는 뇌과학자로 인정욕구, 자존감, 공감, 도덕성, 이타성 등의 신경학적 기제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기법을 사용해 독자에게 과학적으로 설명해줍니다. 일반적인 심리학책들이 자존감을 설명할때 작가 자신의 경험이나 상담 사례를 예로 들어서 설명해주는데, 이 책은 감정은 신경학적 기제라고 뇌의 활동 분석을 이용하여 설명하고, 우리가 사회적으로, 도덕적으로 유익하다거나 바람직하다거나 옳다고 생각하는 현상들이 사실은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능과 반대의 흐름이니, 그렇게 행동하지 못하는것이 자신의 무기력함이나 의지의 약함을 탓하지 말라고 합니다.
사람에게서 있어서 정말 중요한것의 하나가 인정욕구인데, 이것이 얼마나 강력한지 그 어떤 다양한 중독을 끊을때에도 이 인정욕구를 이용하면 그 어떤 중독도 치료가 가능할 정도라고 합니다.
이 책에서 주요하게 다루는 것은 나다움을 찾는 것인데, 나다움을 찾는것은 사람이 자연적인 본능으로 자연스럽게 찾기 힘든 경로라고 합니다. 특히 요새같이 SNS등 사회적인 자극이 만연한 사회에서는 더욱 힘든데, 사람은 외부환경을 민감하게 느끼고 반응해야 생존에 유리하기 떄문에 나의 내부에 집중하며 나다움을 찾고 나의 내면, 자존감을 찾는것은 본능과 역행하는 것으로, 그렇게 하지 않고 외부의 자극을 받아들이며 살아가면 자연스럽게 자아가 비대해진다고 합니다.
저자는 경외감을 강조하는데, 경외감은 우리가 가진 세상에 대한 이해의 범위를 넘어서는 방대한 어떤 존재를 향해 느끼는 감정을 말하는데, 이런 경외감을 통해 비대해진 자아를 축소시켜 나의 내부의 신체 신호를 섬세하게 읽는 기회를 삼는다면 나 자신을 온전한 형태로 세상에 드러내는 것, 나와 세상과의 관계를 온전하게 확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고 합니다. 그렇게 하면 나의 내부의 온전한 자기 감정을 인식 할수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자기 감정을 인식하게 되는것이 자존감을 찾게 하는 기본적인 뇌의 방식이라고 하니 그냥 방법만을 알았을때보다 과학적으로 뇌가 작동하는 방식을 알게되니 더 이해되고 좋았습니다.
이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