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건국 잔혹사 - 설계자 이방원의 냉혹하고 외로운 선택
배상열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사검정시험을 준비하면서 우리나라 역사에 관심이 가졌다. 흔히 말하기를 필수교육과정으로 분명 국사를 배웠지만 그렇게 와닿지않았다고나 할까?! 최근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이산],[광해군],[남한산성],[장옥정,사랑에살다], [육룡이나르샤] 등을 보면서 우리나라의 역사를 찾아 시대적 배경을 알고 보니  더욱 쉽게 이해가 가곤 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던 중! [조선건국잔혹사]라는 책이 눈에 보였다.
부제로 "이방원은 정몽주를 죽이지 않았다!"
이 무슨 말이란 말인가? 당연 이방원이 부하를 시켜 죽였겠지?! 그런데 왜 이런 말을 하는거지? 다른 이유가 있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끌렸다. 어떤 내용일까...

설계자 이방원의 냉혹하고 외로의 선택을 알기위해서는 고려말시기로 올라가 이야기가 시작되어야한다.
참 신기한게.. 한 나라의 역사인데 흥미로운 부분이 있지만 그 흥미로운 부분이 쉽게 읽혀지지가 않는 부분이 있다. 나에게는 고려시대라고 해야하나? 조선건국 전 전체 부분이라고 해야하나...
결론은 혼동의 시기는 나에게도 혼동인거같다.
고려 말, 우리가 알고있는 공민왕부터 이야기는 전개된다.
공민왕은 노국공주의 죽음 후로 시름시름이었다는 것은 누구나 안다. 그 시기에 신돈이 나타났고, 왕이 교체되고 최영장군이 나타나고, 변방을 지키는 이성계가 등장한다.
정몽주와 정도전.
헷갈렸는데.. 같은 정씨라.. 이제 조금은 자리 잡혀 이해가 되기시작했다.
(원나라, 몽고,, 이것과 관계깊은것은 고려! 고려에 도전한다! 정도전은 조선건국에 힘썼다! 나의 이해력을 높이기위해 조금 엮어보았다... 하하하..)

저자는 말한다.
조선건국은 이성계에 의한것이 아니라 정도전이 꿈꾸는 나라를 이성계가 도운것이라고, 이후 경복궁등 성의 이름을 정한것도 정도전이라는 것을.
정도전!
정도전과 정몽주의 대결구도. 
조선건국과 고려의 멸망을 구도로 나타난다.

실록에 나타나있는 하여가와 단심가.
과연 사실일까?

정몽주를 누가 죽였을까?

이후에 조선이 건국되어 가면서 재정분리를 강조한 정도전과 왕권중심 나라를 생각한 이방원에게 일어난 일.
그러나 이때까지 이방원이 정권에 나타나지않았다.
그정도로 눈에 띄지않았다는 것이다.
실권을 장악한 정도전을 죽일수있는 인물이 그럼 누구있단 말인가?
그것은 말한다.

이후 나타나기 시작한 이방원.
이방원의 2차례의 왕자의 난.
왕자의 난에 나타난 또다른 배경.

단순히 이방원이 정몽주를 정도전을 생각해보면 된다.

저자는 이 책을 내기전에도 여러 역사서를 읽으면서 의문을 가지게 만드는 부분을 파헤쳤다.
배상열이라는 저자를 [조선건국잔혹사]를 통해 처음 만나게 되었지만 이 책만으로도 저자의 생각을 읽을수 있었다. 더욱이 끝맺음에 자신의 생각을 말해주어 나의 생각이 틀리지않았음을 알게되었다.

역사라는 것이 두가지 관점이 있다고 우리는 배웠다.
사실로서의 역사.
기록으로서의 역사.
가만히 들여다보면 두가지 관점 모두 이긴자의 기록이라는 것이다. 사서는 자신의 사고가 들어가면 기록으로서의 역사라고 하고, 판단이 빠지면 사실로서의 역사라고는 하나, 그 부분마저 후대에 기록하는 것이기에 일도 들어가지않았다는 것은 믿을수없다는 것이다.

[조선건국잔혹사]를 다 읽고나면 그대로를 받아들이기보다는 기록되어있는 역사를 보면서 생각을 해보는 것이 어떨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저자처럼 너무 깊게는 안되겠지만 조금의 생각을 하며 우리나라 역사를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될거라는 생각이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