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병법 평단 Great Classic 8
손무 원작, 석산 지음 / 평단(평단문화사) / 201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손자병법은 난세가 계속되었던 춘추시대에 병법가 손무가 전쟁의 원리와 원칙을 담은 고전이지만,
현세에 와서도 그 일화나 병법들이 특히 실생활에서 다양하게 회자되고 인용되고 있어 어찌보면 고차원의 철학서인 듯하다.

 

그 이유는 아마도 노자와 교분이 깊은 손빙이 아들 손무에게 노자의 가르침을 전수했고,
손무는 공자와의 각별한 인연을 이어오면서 공자의 사상을 존중하였기에 공자와 노자의 영향을 받았던
<손자병법>은  뛰어난 전쟁교과서이지만 그 밑바탕엔 인본주의가 깔리어 있어 철학서로서의 느낌도 받게 된다.

 

이 책에서 최상의 병법술은 간략히 손무와 공자와의 대화로 요약될 수 있는데,
손무의 병법을 읽은 공자는 크게 감탄하며
" 선생의 병법은 세가지로 요약되는군요. 첫째는 싸우지 말고 이겨라. 둘째는 이겨 놓고 싸우라. 셋째 신속하게 승리하라.
앞으로 땅의 도리를 이만큼 밝혀내기 힘들 것이오."
라고 말하며 더불어 전쟁의 정정당당해야 함을 추가적으로 역설하기도 하였다.

 

이같이 손무는 손자병법에서 싸워서 이기는 방법 중의 최상책은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 이 최선중의 최선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전쟁을 하면 자국은 물론 상대국도 큰 피해와 손실이 발생될 수 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전쟁으로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아주 많게 된다.
그러므로 그 피해를 최소화 하고 온전하게 두고 이기는 것이 최상책의 용병술인 것이다.

 

책 내용 중에는 중원의 패권다툼이 난무하며 난세를 이어오면서 행해졌던 춘추전국시대의 왕들과 영웅호걸들의 일화들을
소설로 흥미롭게 풀어내고 있는데, 보면서 공통된 진리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무엇이든 '지나침은 부족한 것 만 못하다'는 이치가 들어있다.
즉 주색잡기가 과하면.. 명예욕이 과하면.. 정복욕이 과하면.. 지나친 충성이.. 이간질이.. 과한 이는 망할 수 밖에 없는데,
이는 ' 적을 알고 나를 알아야 승리를 할 수 있다'는 원리를 대입해보면
적을 알기도 전에 자신의 욕심과 경거망동을 헤아리지 못하고 '자신과의 싸움'에서 부터 졌으니 그 결과는 당연하게 귀결된다.

 
인간의 욕심과 야망은 끝이 없을 텐데..
손무는 자신의 병법서를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실전에서도 행해 보였는데,
약했던 오를 도와 10년간 오가 초를 누르고 월을 속국으로 거느리며 또 제나라까지 제압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운 후에,
높은 관직을 내려놓고 은둔을 택한 용기가 대단해 보인다.
그렇게 개인의 사리사욕에 집착하지 않고 사심을 버렸던 손무를 비롯 손빈이었기에 그들의 말로는 평안했고
천하의 병법서를 남기게 된 것이리라..

 

개인적으로 책을 읽으면서 '이순신 장군'의 용병술이 많이 겹쳐졌는데,
<손자병법>에 나온 전략과 전술들이 활용되고  뛰어난 지혜와 용병술로  큰 승리를 이끈 '이순신 장군'의 공이 새삼 훌륭하게 생각되었다.

더불어 또 한편 드는 생각은
부디 정치를 하시는 나랏님들이 이<손자병법>을 교본삼아
백성(국민)을 먼저 생각하고, 자기를 절제하는 도량과 국가의 안위에 힘쓰는 정치를 펼쳐주었으면 하는 바램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