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1등 핵심 노트법 - 국제중.특목고 편 전교1등 핵심 노트법
김은실 지음 / 서울문화사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노트 필기에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중과 흐름 - 대중과 계급의 정치사회학 트랜스 소시올로지 16
이진경 지음 / 그린비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진경 선생님과 이정우 선생님의 사유를 잘 접합시키면 좋을 듯 합니다. 외부성의 사유와 무위인/다양체의 사유의 연관이 느껴집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보의 새로운 조건들 - 사건, 진리, 장소
이정우 지음 / 인간사랑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을 읽기 전에 <<주체란 무엇인가>>와 <<인지와 자본>>중 <이-것되기로서의 주체-화>를 먼저 숙독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각선 논법과 역 - 칸토어의 대각선 증명과 러셀 역설로 본 역
김상일 지음 / 지식산업사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왕의 귀환>이 아니라 <역의 귀환>이네요. 한신대은퇴이후 참 궁금했는데 역시 <역>을 들고 오셨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각선 논법과 역 - 칸토어의 대각선 증명과 러셀 역설로 본 역
김상일 지음 / 지식산업사 / 2012년 1월
장바구니담기


P.196 4째줄
원문---<그런데 뒤집어 착종시켜도 모양이 변하지 않는 괘들은 건-곤, 감-리, 대과-소과의 세 쌍 여섯 개이다. 이 여섯 개들은 착을 한다. 반가치화를 뜻한다. 즉 착이란 두 괘의 치가 바뀜, 즉 음양이 반대로 바뀌는 것을 말한다. 구괘를 착하면 24.복괘가 된다.<주역>64괘 가운데 56개는 종을, 6개는 착을 한다.>

수정---<그런데 뒤집어 착종시켜도 모양이 변하지 않는 괘들은 건-곤, 감-리, 중부-소과, 이-대과의 네 쌍 8개이다. 이 8개 괘들은 착을 한다. 반가치화를 뜻한다. 즉, 착이란 두 괘의 치가 바뀜, 즉 음양이 반대로 바뀌는 것을 말한다. 구괘를 착하면 복괘가 된다. <주역> 64괘 가운데 56개는 종을, 8개는 착을 한다.>-19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