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으로 읽는 밤의 동화
안지은 지음 / 콜라보 / 2022년 12월
평점 :
절판





어렸을 때 읽은 인어공주나 신데렐라, 백설공주, 알라딘, 헨젤과 그레텔 등등, 동화를 재해석한 책을 꽤 좋아하는 편이다. 같은 동화를 보고도 이런 식으로도 해석할 수 있구나 하고 느낄 때 꽤 즐겁기 때문이다. 오랜만에 동화를 재해석한 책을 읽어보고 싶어 욕망으로 읽는 밤의 동화를 펼쳐보게 되었다.



각 동화에 대한 해석의 뒤에는 등장인물 인터뷰란이 있었는데, 주인공 만이 아니라 조연, 악역까지 인터뷰가 담겨있었다. 아무래도 동화의 인물들은 욕망이 선명이 드러나 있는 경우가 많고, 그렇다보니 어렸을 때 읽었을 때는 주인공에 이입해 조연이나 악역들을 싫어했었다. 하지만 어렸을 땐 나쁘게만 보였던 악역의 인터뷰를 보니 그 마음도 이해가 되는 부분이 많았다. 심지어 주인공보다도 조연이나 악역의 인터뷰가 더 재미있게 느껴졌다. 보통 지나가는 조연이나 악역은 그 심리를 깊게 생각해보지 않기 마련이니까.




욕망으로 읽는 밤의 동화를 다 읽고 보니, 역시나 동화속 등장인물에 대한 저자의 해석은 정말이지 흥미로웠다. 인어공주를 읽으면서 제 발로 마녀와 계약을 하고, 자신이 왕자를 구한 사람이라는 걸 전하지 못하는 걸 보면서 답답하다고는 생각했지만, 사랑의 권력관계에 대해서는 생각해 보지 못했었다. 인어공주는 목소리와 다리를 맞바꾸고, 바다속 가족들도 버리고 갈 만큼 왕자를 사랑했지만 왕자는 아니었다. 인어공주의 사랑은 굳이 따지자면 실패한 사랑이라고 생각하는데, 사랑에 있어서 정말 성공과 실패는 없는 걸까? 



엄지공주는 내가 별로 좋아했던 동화는 아니었다. 아니 대체 왜 귀여운 엄지공주한테...? 하는 마음이 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엄지공주의 등장인물 인터뷰를 보니 싫어했던 등장인물들에 대한 생각이 조금 바뀌었다. 어떤 부분은 조연에게 공감가는 부분도 있었으니까. 특히 너무 싫다고 생각했던 두꺼비의 심정이 어쩐지 상상이 갔다. 엄지공주의 입장에만 이입해 이 동화의 등장인물들을 진짜 싫어했는데 지금 이 동화를 다시 읽어보면 조연들이 달리 보일 수도 있을 것 같다.



나는 일부러 몸을 좀 회복하려고, 아니면 바빠서 밥 때를 놓쳐서 배고픔을 느낀 적은 있다. 하지만 굶어 죽을 정도의 배고픔은 느껴본 적이 없다. 그래서 그런지 헨젤과 그레텔에서 자식들을 숲에 버린 아버지를 이해하기 어려웠다. 숲에 버리면서 아이들이 똘똘하니 살아남을 거라 생각했다는 건 너무 비겁한 변명처럼 느껴졌으니까. 어른도 먹고살기 힘든 상황에서 아이들이 숲에서 살아남는 다는 게 말이 안되지 않나. 사실 이 동화의 아버지라는 인물은 저자의 해석이나 인터뷰를 봐도 여전히 안좋게 보이지만, 나는 굶어 죽을 정도의 허기를 느껴본 적이 없기에 이렇게 생각할 수 있는 걸지도 모른다.



밤의 동화에는 저자의 일러스트도 정말 많이 수록되어 있어 책 내용을 읽는 즐거움과 함께 보는 즐거움도 충만했다. 이전에도 동화를 재해석한 책을 몇권 읽었지만 등장인물들의 심리를 이렇게 깊게 파헤친 것 같은 책은 처음이었다. 주인공만이 아니라 조연들의 심리까지 이해해볼 여지를 주다보니, 새삼 오래전 읽었던 동화를 다시 읽어보고 싶은 마음도 든다.




무상으로 책을 제공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