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레이디스
퍼트리샤 하이스미스 지음, 김선형 옮김 / 북하우스 / 2022년 12월
평점 :
퍼트리샤 하이스미스를 떠올리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게 영화 '캐롤'과 '리플리'다. 이 두 영화의 원작소설을 쓴 작가이기 때문이다. 두 영화 모두 지금 봐도 어색함이 없어서 1921년 태어난 작가의 소설이 원작일 거라곤 생각을 못했었다.
레이디스는 그녀가 명성을 얻기 전, 초기 소설 16편을 발굴해 묶은 소설집이다. 퍼트리샤 하이스미스는 9살때부터 병적도벽, 정신분열증 같은 인간의 어두운 심리에 관심을 갖고 프로이트나 칼 메닝거의 저서를 읽었다고 한다. 평생 소재가 고갈된 적이 없다고 할 정도로 다작을 하고, 수많은 영화의 원작을 쓰고, 서스펜스의 대가라고도 불렸던 작가의 초기 소설은 어떤 모습이었을지 궁금해 읽어보게 되었다.
16편의 짧은 소설들은 분위기가 제각각이었다. 어떤 소설은 옛날 이야기를 듣는 느낌이었고, 어떤 소설은 미묘한 긴장감이 기저에 깔려있어 시종일관 주인공이 잘못될 까 불안한 마음으로 읽었다. 주인공이 사람이 아니라 거미인 소설도 있었고, 사람의 미묘한 심리를 포착해 그려낸 소설도 있었다.
<세인트 포더링게이 수녀원의 전설>은 시종일관 아이가 언제 진실을 깨닫게 될까 궁금해하며 읽었다. 폐쇄된 수녀원을 배경으로 했기에 어떤 어두운 이야기가 펼쳐질까 했지만 나름 반전이 있었다. <공 튕기기 세계 챔피언>에서는 새로운 도시에서 적응하려는 가족의 마음을 알 것 같아 씁쓸하기도 하고 가슴이 아팠다. 거짓말은 사랑을 밑바닥에 깔고 있기도 하는 법이니까.
<엄청나게 친절한 남자>는 범죄가 일어나는 건 아닌가 불안감과 불쾌감을 동시에 느꼈다. 엄마에 대한 미묘한 양가감정을 떠올리게 만든달까. 나는 개인적으로 <시드니 이야기>가 가장 재미있었다. 거미가 주인공인 것도 독특했고, 전하고자 하는 주제가 명확하게 느껴졌다. 스토리가 너무 어둡지 않으면서도 기억에 남는 소설이었다.
생각했던 것처럼 소설의 스토리가 긴박하게 이어지고, 무슨 일이 벌어질까 조마조마하진 않았다. 하지만 스스로의 내면을 잘 관찰하지 않는 이상 무심코 넘어갈 수 있는 미묘한 심리를 표현한 모습이 왜 그녀가 심리소설의 대가라는 건지 짐작하게 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인간의 어두운 욕망을 파헤치고, 행동과 속마음이 다른 사람의 모습을 너무나 잘 그려낸 소설들이다.
무상으로 책을 제공받아 읽고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