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제적 캐릭터 심리 사전 - 창작자를 위한 캐릭터 설정 가이드 ㅣ 문제적 심리 사전
한민.박성미.유지현 지음 / 시크릿하우스 / 2022년 10월
평점 :

나이가 들면서 영화를 볼 때 느끼는 감상이 조금씩 달라지는 것 같다. 어렸을 땐 악역과 선역이 나오면 선역을 응원하고 악역의 행동에 분노하며 봤다면 이제는 선역과 악역의 싸움에 허무하게 죽는 조연도 보이고, 악역이 저렇게 될 수 밖에 없었을 이유도 생각하게 된달까.
애초에 우리가 이야기를 좋아하는 건 사회 감시에 대한 강렬한 관심에서 나온다고 했다. 지금만큼 법이 제정되어 있지 않고, 인터넷이 없던 시절에는 소문을 통해 어떤 사람이 집단에 좋은 사람이고 어떤 사람이 나쁜 사람인지 파악해 상을 주거나 처벌 함으로써 집단을 유지했을 거라고.
베스트 셀러에서 가장 자주 나오고 중요한 주제는 인간의 친밀감과 인간 사이의 연결이라고 한다. 결국 이야기라는 건 사람에 대한 것이다. 그만큼 이야기에 있어서 관심을 사로잡는 매력적인 캐릭터가 중요하다.
'문제적 캐릭터 심리사전'은 창작자가 캐릭터를 만들 때 참고할 수 있는 심리학적 내용이 담긴 캐릭터 설정 가이드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10가지 성격 스펙트럼을 알려주고 있고, 9가지 방어기제를 다루고 있다. 성격 스펙트럼은 본래 성격장애 분류에서 출발한 만큼 각각의 개성이 강하며, 그런 성격을 갖게 된 발달상의 서사 부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문화와 사회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학적 설명도 덧붙였고, 최근 유행하는 mbti에 따른 유형별 성격 스펙트럼 설명을 구성했다.
'창작자를 위한 캐릭터 설정 가이드' 라는 소개문구 답게 분류가 너무 잘 되어 있어서 술술 잘 읽혔다. 보통 심리학책이라고 하면 창작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건 아니다보니 이렇게 다양한 심리학적 내용이 딱 캐릭터 창작에 필요한 부분들만 추려서 알려주듯 써있진 않았다. 하지만 이 책은 창작자가 캐릭터를 만드는 데 필요한 내용들만 요점정리해서 체계적으로 딱딱 분류해준 것 같았다. 10개의 성격 스펙트럼을 자기확신형과 타인통제형, 불안초조형까지 총 3군으로 분류해 공통적인 특정이 무엇이고 어떤 점에서 다른지 한눈에 볼 수 있게 정리되어 있었다.
각 성격의 행동특성과 성격발달요인, 어떤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지, 해당 성격의 캐릭터를 설정할 때 취약 상황이나 갈등요인은 무엇인지, 특정 상황에서의 행동에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해당 성격과 관련된 키워드까지 캐릭터를 설정하는 데 필요한 내용들만 요점정리된 노트를 보는 기분이었다. 각 성격 유형별로 mbti에 따라 나눈 것도 꽤 재미있었다.
예전에 한 사이코패스 과학자가 쓴 사이코패스에 관한 책을 읽은 적이 있었다. 그때 책에서는 사이코패스의 뇌를 갖고 태어나더라도 살인자가 되느냐,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멀쩡하게 살아가느냐는 어린시절의 학대경험이 나눈다고 했었다. 똑같이 상대의 고통을 느끼지 못하더라도 학대가 없는 평범한 가정에서 자란다면 그 책의 저자처럼 뇌 과학자가 되어 사회에 기부도 하고, 가정도 꾸리는 삶을 살 수도 있는 것이다.
이 책의 6장에서는 정신장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다중인격 장애나 해리성 장애, 아스퍼거 증후군, 리플리 증후군, 뮌하우젠 증후군 등 다양한 정신장애를 살펴볼 수 있었다. 하지만 정신장애가 있는 캐릭터를 만들고자 한다면 좀 더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편이라, 이 부분은 이 책의 내용만 보고 캐릭터를 만들기 보다 좀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고 참고하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이야기의 끝까지 독자를 끌고가는 건 결국 캐릭터다. 캐릭터에 이입하지 못하면 아무리 재밌는 이야기라도 끝까지 보는 건 쉽지 않더라. 아무리 전개속도가 좋고, 쉴새 없이 사건이 터져도 캐릭터가 단순하고 평면적이면 초반에나 재밌지 중반에 다다르기도 전에 접게 된다. 결말까지 독자를 끌고갈 수 있는 입체적이면서 깊이 있는 캐릭터를 만들고 싶지만 시중에 있는 수많은 심리학 책을 다 읽자니 막막하다면, 이 책이 캐릭터 구축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출판사에서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