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텔링 우동이즘의 잘 팔리는 웹툰, 웹소설 이야기 만들기 - 아마추어 작가와 지망생을 위한 프로 데뷔 노하우!
우동이즘 지음 / 한빛미디어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토리텔링 우동이즘 유튜브 채널은 그동안 나도 종종 보곤 했던 채널인데 이번에 책이 나왔다고 해서 신청해서 읽어보았다. 저자는 그동안 스토리를 몇편 만들었는데도 프로데뷔를 못한 아마추어 작가를 위한 작법서를 만들었다고 한다.


작품활동을 해보았지만 도무지 프로의 문턱을 넘지 못한 이들에게 도움이 될 작법서를 만들기로 하고 쓴 책이 '스토리텔링 우동이즘의 잘 팔리는 웹툰, 웹소설 이야기 만들기' 인 것이다.



때문에 아마추어 작가나 지망생에게 가장 부족하지만 실제로는 가장 중요한 기획에 집중한 책이었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목차의 순서도 작품 기획서의 빈칸을 순차적으로 채워나가는 듯한 구성으로 되어있었다. 로그라인부터 주제, 기획의도, 타깃, 시놉시스까지 해당 칸들을 채우는 데 알아야 할 내용들과 어떤식으로 채우면 좋을지 방법들이 들어있었다.


사실 그동안 작품 기획서에 대해서 작품 자체가 중요하지 기획서에 대해서는 작품부터 쓰고 제출용으로 만드는 것 정도로만 인식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로그라인에 대한 내 생각도 바뀌었고, 기획서에 대한 내 인식도 바뀌었다. 기획서는 단순히 제출용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심사위원이나 독자들이 수많은 작품들 속에서 내 작품을 한번이라도 봐 보고 싶게 만들 수 있는 포장지였고, 초반에 잘 만들어두면 스토리가 방향성을 잃지 않도록 길잡이가 될 수도 있는 중요한 것이었다.



그동안은 작품을 먼저 만들고 기획서를 만드는 순서로 작업을 했다면, 이번에는 만들고 있던 작품의 작업을 잠시 멈추고 작품기획서부터 책을 보며 만들어 보았다. 책에 첨부된 다양한 문서 템플릿들은 감사하게도 회원가입 없이도 출판사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어서 따로 틀을 만들지 않아도 되서 편했다.


책에 나온대로 다양한 키워드의 조합과 변형을 통해 로그라인을 만들었고, 타깃을 설정하고 주제를 찾았다. 기획서의 빈칸을 채워가고 있었지만 동시에 내가 만들 작품도 어떤 방향으로 만들지 틀이 잡혀가는 것 같았다.



실제 웹툰작가로 활동한 분의 책이라 그런지 로그라인이나 주제 등등 기존에 읽었던 영화나 소설 작법서와 달리 좀 더 우리나라의 대중상업예술에 맞춰 현실적으로 도움되는 내용들이 있었다. 또 레드오션이나 블루오션이 아니라 틈새전략처럼 퍼플오션을 공략하는 법을 알려주는 듯한 작법서이기도 했다.


책을 따라 기획서를 작성해보니 앞으로도 작품을 만들기 전에 작품 기획서부터 만들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미 작품을 만들었는데 도무지 데뷔가 안되서 절박한 아마추어 작가나 기획서 작성이 너무 힘든 작가라면 이 책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책과 콩나무에서 책을 제공받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