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사람의 길을 열다 (반양장) 주니어 클래식 3
사계절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양 철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면 그 중에서도 공자를 중심으로 한 유가(儒家)를 가장 먼저 접할 것이고 그 중에서도 <논어(論語)>를 가장 먼저 읽어보게 될 것이다. 그런데 서양 철학과 달리 동양 철학을 접할 때는 막연함을 느끼게 된다. 당장 도서관이나 서점에 가서 <논어(論語)>를 찾아보면 엄청나게 많은 책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게되고 특히 옮긴이마다 해석이 다른 바 어떤 해석이 옳은 것인지 헷갈리기 마련이다.



과거에는 주석을 잘못달면 이른바 사문난적(斯文亂敵)이라 하여 죽음을 각오해야 했기 때문에 성리학 주자의 해석에서 벗어나기 힘들어 경전의 경직된 해석을 통한 부작용이 있었던 반면에 현대의 경우에는 오히려 너무 많은 해석이 범람하여 처음 접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현기증을 느끼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과연 어떤 책을 선택해야 좋을지 참으로 난감하였다.



그 결과 나는 수 많은 논어 번역본 중 아래와 같은 몇 가지 논어 번역본으로 추려서 서로 비교하기 시작했다. 즉 홍익출판사에 나고 김형찬 교수가 옮긴 논어와 서울대학교출판부에서 나오고 김학주 교수가 옮긴 논어, 성균관대학교출판부에서 나오고 이기동 교수가 옮긴 논어 강설, 성균관대학교출판부에서 나오고 유교문화연구소에서 옮긴 논어 이렇게 총 4권을 서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무래도 가장 정통적인 논어 번역본은 성균관대학교에서 심혈을 기울여 유교경전인 사서삼경을 모두 번역하고 있는 중 처음으로 번역된 논어라고 생각되었다. 다만 책이 너무 두껍고 비싸서 고민하던 중 한글 세대를 위해 쉽게 번역한 홍익출판사에서 출판하고 김형찬 교수가 옮긴 논어를 먼저 읽게 되었다.



분명 이 책은 쉽게 논어를 옮긴 점은 높게 평가할 수 있으나 좀 더 주석으로 자세한 설명을 넣었으면 좋겠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또한 원문을 먼저 보여주고 한글로 번역한 다음 주석을 다는 것이 좋은 구성으로 보이는데 원문을 맨 마지막에 한꺼번에 모아 놓아 원문과의 괴리를 초래하였다. 아마도 한문에 익숙치 않은 중고등학생들을 위해 맨 마지막으로 모아 놓은 듯 한데 득보다는 실이 많은 구성이라고 보인다.



결국 종합해 보았을 때 논어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면 배병삼 교수가 쓴 <논어, 사람의 길을 열다>를 먼저 읽고 나서 이 책을 읽고 마지막으로 성균관대학교에서 나온 논어 및 논어 강설을 함께 읽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배병삼 교수의 책은 정말 쉽고도 흥미있게 논어 및 공자의 삶을 보여주고 있는바 처음 동양 고전, 특히 논어를 읽을 때 필연적으로 드는 막연함을 없애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