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깨비 아부지 내친구 작은거인 14
이상배 지음, 한태희 그림 / 국민서관 / 2006년 8월
평점 :
절판


 

‘도깨비 아부지’를 읽고


아빠는 진급을 하여 과장님이 되셨다. 일에 매달려 점점 여유가 없고 식구들과 함께 어울릴 시간조차 없이 바쁘게 살아간다. 예전에는 그래도 아이랑 놀아주기도 했지만 점점 그렇지 못하고 일에 치여 산다. 어느 날 문득 그런 아빠는 현실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생각이 들어 무작정 아무에게도 연락하지 않고 시골로 간다. 그곳은 어린시절을 보낸 곳이다. 아버지에게 고맙다는 말도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던 그 시절, 눈물나게 그리운 어린 시절로 돌아가 향수에 젖는다. 그 때는 도깨비 이야기도 많이 듣고 좋았다. 도깨비가 주었다며 잃어버린 신발을 다시 사다주신 아버지 고마움을 깨닫기도 한다. 풀이 무성하게 자란 옛집에서 하룻밤을 보내기도 한다. 그러는 가운데 아빠는 마음이 푸근해지고 느긋해진다. 바쁜 도시생활은 잊는 것 같다.


그러나 그 사이 행방이 묘연한 아빠를 찾아 아이와 아내는 분주하다. 차근차근 아빠가 갈 만한 곳을 찾아본다. 회사 근처, 하물며 결혼전 자주 가던 곳까지 물색을 한다. 하지만 아빠는 없다. 연락두절이다. 다만 이상한 전화가 올 뿐이다. ‘캴캴캴???’하고 이상하게 웃는 소리만 요란한 휴대폰 전화. 그 것은 사실 아빠가 잃어버린 휴대폰을 도깨들이 주워들고 이상한 물건이라는 생각에 장난을 거는 거였다. 하지만 아이는 그 웃음소리를 듣고 아빠라고 인정을 한다. 평소에 아이에게 도깨비 이야기를 들려주며 아빠가 그렇게 웃었다는 걸 아이는 알기 때문이다.


캴캴캴???. 이 웃음소리는 아무나 못 내는 웃음소리다. 점잖은 사람이 그렇게 소리 내어 요상하게 웃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유머를 알고 여유를 알고 마음이 느긋한 사람만이 낼 수 있는 웃음소리다. 캴캴캴???. 장난기가 다분한 소리다. 딱딱하게 인상을 쓰고는 도저히 웃지 못하는 소리다. 아빠는 시골로 돌아가서야 비로소 자유롭고 여유로운 웃음소리를 찾은 것 같다. 비록 그 소리는 도깨비가 낸 것이지만 상징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다. 그만큼 휴식과 여유가 필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아이와 아내는 시골로 간다. 아빠가 있는 곳으로 달려간다. 캴캴캴??? 웃음소리 들리는 그곳으로 간다.


사실 이 책에 도깨비가 등장한다는 것은 마음에 무언가 정서를 불러다주는 것과 같다. 도심 속 지친 생활을 벗어나고 싶은 욕구를 그렇게 표현한 것이리라. 도깨비 담배 피는 시절 같은, 그러한 시절을 그리워해보는 것이리라. 그래서 이야기는 환타지적인 요소를 띤다. 요즘과 같은 세상에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도깨비가 출몰하여 휴대폰을 신기해하고 장난감처럼 사용한다는 것은 신선하고 재미있는 발상이다. 도깨비 하면 무서운 이미지가 먼저인데 여기서는 귀엽고 아이 같은 그런 이미지로 나온다. 아무튼 도깨비가 다시 등장을 하니 새로웠다. 모처럼 마음을 다독여주는 시골집에서 행복했을 것이다. 게다가  ‘아부지’란 말은 또 얼마나 친근한 말인가. 편안한 말, 편안한 장소, 편안한 시간....아빠가 원하는 것, 찾아간 곳이 바로 그런 곳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고향은 영원하다, 라는 말이 나온 것 같다. 몸은 객지에 나와 살아도 사람들은 늘 고향으로 돌아가곤 하는 것을 보면 그렇다. 명절이 되어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도 다 그런 심리인 것 같다. 나서 자란 곳. 정서적으로 풍요롭고 안정되었던 곳, 그런 곳이 자꾸 그리워지는 것은 그만큼 지금 사는 현실이 그렇지 않다는 얘기일 수도 있다. 어려울수록 좋았던 때를 기억하려는 습성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렇더라도 그런 마음의 고향이 있다는 것은 행복한 일일 터이다.언제든 가서 위로를 받고 쉼을 얻을 수 있으니까 말이다.   

 

                                                                                      @ 무지개, 20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