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은 어떻게 행동이 되는가 - 목표를 세우고 성취하는 인지조절의 뇌과학
데이비드 바드르 지음, 김한영 옮김 / 해나무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각은 어떻게 행동이 될까.

그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고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뇌과학적 연구를 담아낸 책이다.

인지조절이라는 생소한 단어가 나오는데, 인간이 생각을 했을 때 바로 행동으로 가지 않고 인지조절 단계를 거친다는 것이다.

그래서 내가 실행을 잘 못하는 것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우리가 무심코 하는 행동들은 그냥 생각없이 하는 것 같지만 그게 아니라 인지조절의 영향이다.

 

이 책은 인지조절이라는 연구분야의 시작부터 현재까지를 담고 있다.

인지조절 연구는 주로 인간이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어떻게 실행하는 가에 대한 연구라고도 할 수 있다.

자기계발서적 요소도 담고 있는데, 과학자의 책이라 더 믿음이 간다.

 

 

인간은 진화를 해오면서 이런 기능을 키워갔다. 동물들도 다 하는 본능적으로 하는 행동들에서 인간만의 특징인 행동 중 하나가 인지조절이 될 것이다.

동물은 긴 미래를 계획하지 않는다. 배고프면 먹고 자고 싶으면 잔다. 뭐 인간도 그런 행동을 많이 하기는 하지만.

 

인간만이 가진 능력들을 키워나가는 인지조절 능력이 어떻게 생기게 되었는가를 추적한다.

다만 이것은 조상들이 남긴 유물을 분석하고 동물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 현재 인간의 관찰 등 한정된 단서로 유추할 수 밖에 없다고 한다.

 

앞으로 더 발전 가능성이 높은 학문이기 때문에 아직은 미숙하고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저자는 시인을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설득력 있고 대단하게 느껴졌다.

 

인간은 멀티태스킹이 어려운 존재다.

 

생각이 왔다 갔다 할 수는 있어도 동시에 여러 생각을 할 수는 없다.

 

두가지 이상의 일을 하면 집중도 안되고 하나만 하는 것만 못한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일의 종류에 따라 물론 다르겠지만 단순한 일을 하면서도 다른 생각을 떠올려보면 실수를 하게 된다는 것을 나는 경험한적이 많다.

 

흔히 여자들은 멀티가 되고 남자는 안된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것도 아닌가 보다.

 

현대의 인간도 본능의 욕구에 충실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그것들을 즉각 해소하지 못하면 스트레스가 쌓이고 결핍도 생기게 된다.

그러나 그런 본능적인 것들을 이겨내는 것도 인간만의 능력이다.

서로 적절히 조절해야지 동물처럼 욕구에만 충실할 수도 없고 욕구를 무시할 수도 없는 것같다. 적절한 조절이 필요한데 이 '적절한' 이 늘 어려운 과제인 것 같다.

 

인간의 생각과 행동의 매커니즘을 밝히는 이 책은 어려웠지만 흥미로운 주제였다.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 거듭되고 인간능력의 신비에 대해 밝혀내서 좀 더 인지조절을 잘 해내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