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씻는 날 학고재 대대손손 5
이영서 글, 전미화 그림 / 학고재 / 201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씻는 날/학고재

 

엄마 어떻게 책을 씻어?

책을 보자마자 아이들이 한 질문이네요~!

 

책이 흔하지 않았던 옛날 다 외우거나 배운책을

깨끗하게 정리하여 후배들에게 물려주는 걸 책씻는다고

표현했네요~! 학창시절 책걸이가 있긴 했는데

책씻는날에서 유래되어 계속이어져오는 전통이군요~!

 

이책은 조선 중기 시인 김득신의 어릴적이야기랍니다.

 



 

몽담이는 책구절을 백번 천번 읽어도 외지 못하는 아이였어요~!

외숙은 몽담이 아버지에게 몽담이의 글공부를 그만두게 하라는 이야기를 하고 있어요~!

 



 

외숙에게 인사를 하러오다가

그만 아버지와 외숙이 자신에 대하여 하는 이야기를 듣고 말았어요~!

 



 

외숙이 둔다하다고 하여 서러웠냐는 질문으로

말문을 여는 아버지는

노자를 만나는 신기한 꿈을 꾼 아버지는

꿈몽자와 노자의  다른이름 담을 따서 몽담이의 이름을 지은 이야기를

들려주며 너는 학문으로 이름을 떨칠 것이다

 

백번 천번을 읽어도 깨치지 못하면 어쩌겠느냐는 질문을 합니다.

몽담왈 '만번을 읽겠습니다."

그래도 깨치지 못하면

'억번을 읽겠습니다."

 

그렇지 그렇게 부지런히 익히라는 말을 해주네요~!

 



 

드뎌 책씻는 날이 다가오고

그렇게 고대하던 책씻기를 할 수있게된 몽담이...

 



 

책을 뗄 때마다 훈장님은 한글자가 쓰인 성적표를 주셨는데

날마다 서당에 늦는 아이는 닭계(鷄)자를 주어

닭처럼 일찍일어나 지각하지 말라고 일깨워주시고

서두르는 친구에게는 소우(牛)자를 주어

소처럼 천천히 신중하게 행동하라는 당부를 해주셨답니다.

 

몽담이는 없을 무(無)자를 받았는데

 

배움은 그시작도 마침도 모두 부지런함이다

한결같은 부지런함으로을 아는 몽담이에게는 당부할 것이 없어서

무자를 주셨다는 훈장님 말씀

 





몽담이 어머니도 몽담이의 책씻기를 위해 음식을 준비해 주셨답니다.

 

학문으로 세상을 비추라고 동그란 경단을 만들고

속이 꽉찬 송편처럼 머릿속을 배움으로 채우라고 송편을

국수가락처럼 길게 배움을 이어가라고 국수를

 

준비한 음식에도 학문에 관련된 깊은 뜻이 있었네요~!

 



 

억만번 책을 읽은 김득신은 환갑을 앞둔59세에 문과에 급제를 하였답니다.

억만번을 읽으면서까지 글공부를 해야했을까하는 의문이 들기도 했는데

다양한 직업군이 있는 요즘과는 달리

문과아니면 무과 정도로 나뉘어져있던 시대적 배경때문이였을 거라는 생각도 드네요~!

 





이야기가 끝나고면 책씻기에 대한 자세한 소개도 볼 수 있어요~! 

 



 

책을 읽고 책표지를 그려 보았답니다.

 





책씻기를 하고 無자를 받은 몽담이의 얼굴이 붉그스레하고

표정은 매우 밝아 보이네요~!

 

몽담이의 이야기를 읽고나서

몇번이고 반복시도하려는 바람직한 태도가 시작되었답니다.

준 몽담이는 백번해서 안되서 몇번했지?

천번이요! 그래도 안돼면? 억번이요~!

책의 구절로 질문하니 책구절로 대답해 주며 방긋웃어주네요~!^^

 

몽담이 뿐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루어낸 사람들을 보면

포기하지 않는 불굴의 도전정신이 있었기때문이잖아요~!

 

마음이 헤이해질때마다 꺼내보면 목표한바에 한발짝씩 다가갈 수 있는

유익한 책이라는 결론이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