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의 포도 - High Class Book 10
존 스타이벡 지음, 김유순 옮김 / 육문사 / 2001년 10월
평점 :
품절


분노의 포도.

대도시의 네온사인이 휘양 찬란한 불빛의 향연을 이루고, 포드사가 찍어놓은 일체적인 자동차가 거리를 해매이고 있을 때, 1930년대 - 철저한 천민자본 논리에 의한 사회적 모순이 미국과 유렵을 중심으로 폭발하였다. 그 여파로 인해 민중들은 자신의 모든 것을 빼앗겼다. 도시의 노동자들은 끊임없이 해고 되었고, 그들은 새로운 작업장을 찾아 방황하게 되었다. 소작농민들은 한 평생 자신의 두 손으로 지어놓은 땅을 잃게 되었다. 소외된 수많은 민중들에게는 처절한 삶의 시간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그들에겐 살아가고자 한 인간의 본질적인 존재 욕구가 숨쉬고 있었다. 작가는 조드가를 통해 이 모든 것을 철저하게 증명했던 것이다. 조드가의 비참한 생활. - 트랙터에 의해 집이 허물어지고, 포도와 오렌지를 찾아 떠난 일락(一樂) 길에서의 조부모의 죽음, 작은 삶의 안정을 위해 행할 수밖에 없었던 파업, 살인이라는 현장 속에 묻히고 묻어야 했던 케이시와 탐조드, 이주 노동자의 생활로 인해 무너져간 삶.

하지만 분명했던 것은 그들에겐 인간으로서의 희망만은 언제나 존재했던 것이다. 천민 자본에 대한 분노가 충만했지만, 고난 속에서도 가족에 대해 나아가 이웃에 대한 연민과 정은 언제나 살아있었던 것이다. 그것은 작품 전반에 걸쳐 조드가(그중에서도 어머니)의 불굴한 의지로 끊임없이 보인다. 특히 마지막 장에서의 샤론의 장미(로자샨)가 기아와 피로에 지쳐 아사상태에 있는 무명(無名)의 50대 사나이에게 자기 가슴을 풀어 젖을 빨리며 신비로운 웃음을 띠는 장면은 천민자본과 인간애(人間愛) 사이에 존재하는 아이러니컬한 미소를 짓게 하였다.

그런 미소를 담고 책장을 덮은 뒤, 얼마 전 이주노동자 문화제에 다녀왔다. 조드가처럼 켈리포니아 드리밍을 꿈꾸며, 코리안 드림을 바랬던 한국 사회 속에 존재하는 40만 이주 노동자들의 작은 문화제였던 것이다. 성수동/안산/안양 이주노동자 100여명과 소수의 학형들이 모여 그 자리를 함께 지켰다. 천진한 미소를 담으며 서툰 한국어로 노래하고 춤추고 소리쳤던 그들. 우리는 조금 더 본질적인 인간다운 삶을 바라며 들리지 않는 메아리를 향해 소리치고 있었던 것이다. 필자는 그들과 함께 울고 웃으며, 그들과 함께 이야기 나누며, 마음속 구석진 곳까지 담겨진 생각은 ‘같다’였다. 이주노동자 역시 우리와 같았다. 단지 소위 선진국에서 오지 않은 다름만 존재할 뿐이었다.

인간으로서 담을 수 있는 작은 바람. 한국 사회 속에 보이지 않는 가장 낮은 지위를 선택한 그들은 탐조드의 집안사람들처럼 인간미가 넘쳤고, 모르는 무명의 사람까지도 배려했으며, 작은 미소를 담고 있었다. 1930년대를 살아갔던 미주의 조드가, 2000년대를 살고 있는 한국의 이주 노동자. 그들 사이에 존재했던 차이는 무엇일까? 천민 자본의 논리에 의해 약자로서 언제나 소외되었었고, 수탈과 억압 속에서도 희망을 담고 꿈꾸며 살아가는 그들의 차이는 무엇일까?

‘없다.’ 그들 역시 인간으로서의 애정을 담고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필자는 분노의 포도와 한국 사회 속에 존재하는 이주노동자와 함께 함으로서 느꼈다. 인간의 존재는 같다. 다만 인간이기에 바랄 수 있는 최소한의 바람과 인간다움은 그 사회와 그곳을 이루고 살아가는 많은 이들이 연대함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이다. 세상은 결코 홀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다. 이기적이고 나만 바라보고 살아간다면, 결국 나에게 남겨진 것은 세상 속에 홀로 버려진 이기적인 나와 그들뿐이다. ‘치열’하고 ‘환장’할 청춘 이야기는 우리가 이타적인 세상을 바라고 느낄 때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