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법의관이 도끼에 맞아 죽을 뻔했디 - 대한민국 최초 법의학자 문국진이 들려주는 사건 현장과 진실 규명
문국진 지음, 강창래 인터뷰어 / 알마 / 2011년 10월
평점 :
품절
의학은 인간을 치료하고, 돌보며, 궁극적으로는 죽음과의 대결에서 생명 연장, 삶의 질 향상 등을 추구하는 분야이다. 그러니까 살아 있는 사람이 주요 연구 대상이라는 말이다. 반면 의학의 분과인 법의학은 죽은 인간을 대상으로 마치 살아 있는 사람을 대하듯, 특히 살인 사건에서 발생할 수밖에 없는 참혹한 희생자나 또는 자살자, 변사체 등의 죽음의 원인, 사망 시각 등을 부검이나 DNA, 치아, 혈액, 모발, 타액 등을 통해 정밀하게 추적하여 밝혀내는 응용 학문이다. 나는 꽤 오래 전(아마 1990년대 중반쯤)부터 법의학에 남다른 관심을 가지고 몇 권의 책을 읽어 왔는데, 최초로 읽었던 책이 바로 한국 법의학자 1호인 문국진 박사가 쓴 『모남갈녀훈』이었고, 이어서 미국의 법의병리학자 마이클 베이든의『죽은 자들은 토크쇼 게스트보다 더 많은 말을 한다』와 하와이 대학의 법곤충학자 M. 리 고프의 『파리가 잡은 범인』, 일본의 법의학자 우에노 마사히코의 『독살-법의학의 눈으로 바라본 독살 사건들』, 그리고 서울대 의과대학 법의학교실 교수인 이윤성의 『법의학의 세계』등을 차례로 찾아 읽으며 법의학에 대한 이해를 조금씩 쌓아 나갔다. 여기에 각종 법의학적 지식으로 연쇄살인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서술한 관련서까지 포함시킨다면 지금까지 대략 30여권은 읽은 셈이다. 물론 몇 권의 책을 읽었다고 해서 의학을 전공하지도 않은 내가 얼마나 이해를 했을까 스스로 의문이 들기도 하지만, 전혀 관심 없는 사람보다는 조금이라도 낫지 않을까 생각한다. 아무튼 항상 관심을 가지고 있던 분야인 만큼 신간이 나오면 얼른 구입해서 읽는 편인데, 이번에 읽은 『법의관이 도끼에 맞아 죽을 뻔했디-대한민국 최초의 법의학자 문국진이 들려주는 사건 현장과 진실 규명』이라는 대담집은 문국진 박사의 인품과 성실성까지 알 수 있었던 값진 시간이었다. 약력에 의하면 문국진 박사는 국내법의학 제 1세대로서 한국 법의학의 기초를 다졌고 많은 제자를 길러냈으며(위에 든 『파리가 잡은 범인』의 번역자가 바로 고려대 제자인 황적준 교수다) 수많은 미제 사건들을 법의학으로 규명하여 억울한 죽음의 한을 풀어준 탁월한 학자이기도 하다. 문국진 박사가 법의학을 선택한 계기도 독특한데, 대학 3학년 때 청계천에서 비를 피하려고 들어 간 헌책방에서 우연히 발견하고는 서서 읽었던 일본의 후루하다 다네모도가 쓴『법의학 이야기』(아마 일본어였을 것이다)에 나오는 “사람에게 생명도 중요하지만, 권리도 그에 못지않게 소중하다.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의학이 임상의학이라면, 사람의 권리를 다루는 의학은 법의학이다. 법의학은 인권을 소중히 여기는 문화가 발달한 민주국가에서만 발달한다. 따라서 법의학의 발달 정도를 보면, 그 나라의 문화 수준이나 민주화 정도를 알 수 있다.”라는 문장으로 인해서 였다고 한다. 그러니까 ‘인간의 권리를 다루는 의학’이라는 말에 반해서 평생 학문을 결정했다는 뜻이다. 이처럼 『법의관이 도끼에 맞아 죽을 뻔했디』에는 그의 다른 저서에서는 알 수 없는 개인적인 일화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사례들이 줄이어 나오는 관계로 읽는 재미 또한 탁월하다. 이 대담집을 다 읽고 나서 문국진 박사의 온화하지만 확고한 인품과 인간에 대한 무조건적 사랑, 그리고 팔순이 넘은 나이에도 끝없이 솟아나는 지적인 호기심에 존숭의 감정마저 생겼다. 문국진 박사의 투철한 지성과 냉철한 탐구심이 곧 죽은 사람에 대한 가없는 애정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고 나니, 결국 사랑이 죽음도 포용함을 깨닫게 되었다. 의학의 사회적 역할 이전에 의사의 인품과 환자에 대한 애정이 얼마나 비례하는지 생각해볼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책 뒤표지에 있는 문국진 박사의 말, “법의학은 어떠한 경우에도 억울한 자가 생기지 않도록 애쓰는 학문이요.”가 오래도록 마음에 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