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서점에 갈 때마다 느끼는 것 중 하나가 책과의 만남에도 필연성이 있다는 인식이다. 무슨 말인가 하면, 어제 낙성대 소재 중고서점에 들렀다가 '발견'한 <혁명의 시간>이라는 책 때문이다. 이 책은 알라딘 인터넷 서점에 품절로 떠서 구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마침 어제, 그것도 집에 가는 길에 잠시 들려볼까 하고 전철에서 내려 중고서점에 갔던 것인데, 그 곳에 떡 하니 꽂혀 있는 것이 아닌가? 전율이랄까, 어떤 책과의 만남에는 반드시 필연적인 무엇인가가 있구나 하는 생각이 스쳤다. 이 책에 대해 늘 생각했고 중고서점에 갈 때마다 찾기도 했지만, 만약 어제 그 시간에 그 중고서점에 들리지 않았다면 이 책이 지금 내 손에 들려있을 수 있을까? 물론 시내 대형서점에 가면 한 권쯤 있을지도 모른다. 대학도서관에서 대출할 수도 있을테고. 하지만 돈과 시간이 있다고 모든 것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아마 이전 책 주인이 급전이 필요해 중고서점에 이 책을 팔았을 수도 있고, 중고서점 주인장이 평소 사회과학에 관심이 있어 특수한 경로를 통해 확보했을 수도 있지만, 중요한 것은 어떤 책은 그것을 알아보는 사람의 눈에만 보인다는 것이다. 행운인지 천부적인 안목인지 모르겠으나 그동안 이런 식으로 중고서점에서 遭遇한 책들이 꽤 된다. 예를 들어 <전격전의 전설>이나 <콜디스트 윈터>, <조약으로 보는 한국 근대사> 등이 그것이다. 내가 어떤 책을 중고서점에서 발견하는 방법은 이렇다. 우선 시내 대형서점에서 눈으로 제목을 익히고 내게 필요한 책이라고 판단이 되면 그 책에 대한 생각을 늘 하면서 생활한다. 그 자리에서 당장 정가를 주고 그 책을 살 수도 있지만, 우선은 유보하고 기다려 보는 것이다. 그렇게 시간이 흐르고 나면 언젠가 느낌이 올 때가 있다. 확신은 못하지만 기다리던 책이 중고서점에 들어 왔을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 말이다. 위에 든 <전격전의 전설>이 바로 그런 경우다. 이 책은 어느 휴일 집에서 묵은 <플래툰>지를 뒤적이다 서평란에서 보고는 기억해둔 것인데, 얼마 지나지 않아 중고서점에서 발견하고는 쾌재를 불렀던 기억이 생생하다. 한 때 유행했던 <시크릿>이란 책에 나오는 '끌어당김의 법칙'이랄까, 아무튼 한 권의 책과 만나는 일에도 분명 운명같은 그 무엇이 존재한다고 해도 전혀 근거가 없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다음번 중고서점에서는 어떤 책과 만나게 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