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로토닌하라! - 사람은 감정에 따라 움직이고, 감정은 뇌에 따라 움직인다 세로토닌하라!
이시형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시형 박사의 <세로토닌하라!>는 어법에 맞지 않는 제목과는 달리 최신 뇌 과학을 동원하여 세로토닌의 효능에 대해 명쾌하게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뇌에서 분비되는 물질 중에서 도파민이나 엔도르핀과는 또 다른 쾌락물질인 세로토닌의 활용법이라고 할까, 뇌를 젊게 유지하는 것이 곧 세로토닌의 적절한 분비와 관련이 있음을 강조한다. 저자의 주장은 곧 전작인 <공부하는 독종이 살아남는다>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이 책도 단숨에 읽었다). 즉, 도파민과 엔도르핀 신경에는 자기 억제 회로가 없어서 계속 더 큰 쾌감을 얻고자 하기 때문에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불안, 초조, 경련이나 생명을 위험하게 할 수 있는 금단 증상까지 생길 수 있는데 반해, 세로토닌은 결코 극단으로 치닫지 않는 조절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전두엽의 관리가 세로토닌 활성화와 직결되어 있다고 말하는데, 특히 "감동하라"가 그 모토로써 생활 속 작은 일들에 감동을 느끼면 세로토닌이 분비된다고 한다. 영화 한 편, 음악 한 곡, 책 한 권이 담고 있는 감동이 도박이나 성적 쾌락보다 뇌에 더욱 좋을 수밖에 없는 이유다. 특히 책읽기는, 와타나베 쇼이치가 말하듯, 뇌를 젊게 하고 건강을 유지하는데 가장 바람직한 생활습관이다. 그럼 세로토닌 형 인간은 어떤 유형일까? 저자에 따르면 첫째, 공격성과 중독성을 잘 조절해 평상심을 유지하는 사람, 둘째, 주의 집중과 기억력 향상으로 창조적인 사람, 셋째, 생기발랄하고 의욕적인 행복한 사람이 세로토닌 형이라 한다. 이 중 가장 중요한 요소가 아마 자기 조절력이 아닌가 싶다. 이 세상에 중독증을 유발하는 것이 얼마나 많은가? 인터넷이나 스마트 폰, 게임이나 특히 도박처럼 폐가망신 해야 끝나는 경우도 얼마나 자주 목격되는가? 결국 뇌를 얼마나 잘 관리하는 가에 따라 정신과 육체의 조화 내지 진정한 행복까지도 누릴 수 있다는 뜻이다. 당신은 세로토닌 유형인가, 도파민 유형인가? 뇌 관리에 따라 당신의 삶도 달라질 수 있다. 이 책과 함께 하루야마 시게오의 <뇌내혁명>도 읽으면 좀더 깊은 논의를 만날 수 있다. 내가 뇌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책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