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본 열광 - 문화심리학자 김정운의 도쿄 일기 & 읽기
김정운 지음 / 프로네시스(웅진)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그동안 소위 일본론을 꽤 많이 읽어 왔지만, 김정운의 <일본열광>은 단순한 일본 인상기가 아니라 일본 사회와 일본인들의 심층심리를 파고들어 분석해 낸 일종의 문화 심리학서다. 따라서 지그문트 프로이트나 칼 구스타프 융, 빌헬름 라이히 등의 이론을 빌어 일본의 생활문화 속 조화와 불일치의 원인을, 저자의 말을 빌면 "모든 것을 받아들이면서도 하나도 안 받아들이는" 일본이라 정의 내리며 자신의 생각을 정립해 나간다. 이 책을 읽으면 저자가 일본에서 9개월간 살면서 가졌던 의문들, 그러니까 왜 일본 남자들은 가슴 큰 여자에게 집착하는지, 왜 일본의 책은 여전히 위에서 아래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도록 되어 있는지, 왜 할머니가 넘어져도 달려가서 "다이조부 데스카(대장부입니까)?"라고 물어보는지 등의, 어쩌면 사소한 의문일 수도 있지만 거대담론으로는 설명하기가 모호한 일본사회와 일본인들의 행태에 대해 알 수 있다. 나는 특히 5장에서 분석한 일본의 중년남성에 대한 저자의 시각에 공감한다. 이미 40대 중반을 넘어선 내 나이 또래 남성들의 고독과 슬픔에 대해 역시 저자도 같은 경험을 했다는 동질감 이상으로, 일본이나 한국의 중년 남성들은 심리적으로 같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직장에서 밀려나고 가정에서도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중년 남성에게 돌아갈 곳은 어디인가? 이점에서 특히 일본에 불륜을 다룬 소설과 영화가 많고 대부분의 주인공이 중년 남성이라는 것이 현대 일본을 읽는 키워드라 해도 과장은 아닐 듯싶다. 그들에게는 매달려야 할 대상이 익숙한 아내가 아니라 다른 여자일 뿐, 그래서 그 여자와 함께 죽는 자멸적 행동을 통해 자신의 뿌리 뽑힌 존재를 증명하는 것이라면? 마찬가지로 일본의 우익들이 독도를 다케시마라 부르며 일본의 고유영토라 주장하는 것도, 정신대의 존재 조차 부정하는 것도, 무엇이라도 매달릴 대상이 있어야 자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심리적 기제가 아닐까? 아니면 일종의 발달장애? 일본인의 심층심리에 깔려 있는 불안과 트라우마를 한국인에게 적용해도 크게 다르지는 않을 듯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