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디푸스 왕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17
소포클레스 지음, 강대진 옮김 / 민음사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이디푸스 왕 오이디푸스는 자신이 다스리는 땅에 역병과 기근이 일어나 백성들이 살기 어려워지자, 선대 왕 라이오스의 죽음에 대해 밝히려고 한다. 그리하면 도시를 구할 수 있을 거라는 신탁 때문이었다. 그런데 그의 죽음을 밝히려는 와중에 눈먼 예언자 테이레시아스에게서 오이디푸스 자신이 라이오스의 살인자라는 말을 듣게 된다. 그 이야기를 들은 오이디푸스는 자신에게 아버지를 죽이고 제 어미와 결혼한다는 신탁이 내려졌기 때문에 테이레시아스의 예언이 거짓이라 치부하지만, 라이오스가 살해당할 때 유일하게 살아남은 하인에게서 진실을 듣게 된다. 괴로움에 몸부림치던 오이디푸스는 제 눈을 멀게 만들고 떠난다.

안티고네 형제 에테오클레스와 폴뤼네이케스는 나라를 다스리는 일을 두고 싸우다 두 사람 모두 죽음을 맞이했다. 오이디푸스의 뒤를 이어 테바이를 다스리게 된 처남 크레온은 폴뤼네이케스의 장례를 법적으로 금지했다. 그러나 사실이 못마땅했던 그들의 여동생 안티고네는 홀로 폴뤼네이케스의 장례를 치러준다. 이후 크레온은 화가 나서 안티고네를 산 채로 지하 동굴에 가두라는 명령을 내린다. 소식을 들은 크레온의 아들이자 안티고네의 약혼자 하이몬이 아버지를 말리지만, 그는 듣지 않는다. 결국 안티고네가 동굴에서 목을 맨 걸 발견한 하이몬은 자살을 하고, 아들의 죽음에 크레온의 아내 역시 목숨을 끊는다.

아이아스
아킬레우스가 죽으면서 남긴 무구들은 아이아스에게 돌아와야 했다. 그러나 그것이 오뒷세우스에게 향하자 아이아스는 적의를 품고 가축들과 그를 지키는 사람들을 살육했다. 여신 아테네가 아이아스의 눈을 가려 착각을 하게 만든 탓이었다. 정신을 놓은 아이아스는 자신의 삶을 마감하게 되는데, 그의 동생 테우크로스가 형의 장례를 치르려고 하자 메넬라오스와 아가멤논이 반대를 한다. 그러던 중 오뒷세우스가 나타나 그들을 설득해 장례를 치르게 한다.

트라키스 여인들
오랫동안 남편 헤라클레스가 어디 있는지 알지 못했던 데이아네이라는 마침내 그가 돌아온다는 소식을 듣는다. 그것도 왕을 쓰러뜨리고 그 딸을 포로로 잡아 새 신부로 데리고 온다는 소식이었다. 데이아네이라는 사랑의 묘약을 묻힌 옷을 헤라클레스에게 보내지만, 그 옷을 입은 헤라클레스는 죽을 것 같은 고통에 휩싸인다. 아들 휠로스에게서 남편의 고통을 듣게 된 데이아네이라는 스스로 목숨을 끊고, 돌아온 헤라클레스는 아들에게 자신의 몸에 불을 붙이라 명한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로 유명하지만 정작 <오이디푸스 왕>의 세세한 내용은 처음 읽어보는 것이었다. 기원전 5세기라는, 너무 까마득해서 감도 잡히지 않는 시대에 쓰인 희곡을 읽고 있으니 처음엔 어렵기만 했다. 한글인데 한글을 읽는 것 같지 않았던 기분은 <구운몽>을 읽었을 때의 기시감과 거의 비슷했다. 그래도 한 번 읽기 시작했으니 오기로라도 끝까지 읽었는데, 뒤로 가면서는 익숙해져서 마침내 내가 알고 있던 오이디푸스의 저주에 도달했다.

자신에게 내려진 신탁을 알고 있던 오이디푸스가 사실은 버려진 자식이고 부모는 양부모였다는 사실을 알게 됐을 때, 그리고 자신도 모르게 생부를 죽이고 생모와 결혼해 자식을 낳았다는 걸 알게 됐을 때 어떤 심정이었을까 도무지 상상할 수가 없었다. 자기 자신이 싫고 혐오스러우면서 비참한 느낌을 가지지 않았을까 싶다. 운명이라는 게 뭔지, 신이 대체 뭐길래 이렇게 가혹한 형벌을 내린 것인지 분노도 했을 것이다. 그랬기에 스스로 눈을 멀게 만들고서 다 버리고 떠난 것일 터였다.
한 사람의 존재의 의미를 일깨우기엔 너무 가혹하다 느껴졌다. 아무리 신탁이 내려진 것이라고 할지라도 말이다. 세상에 자신보다 불행한 사람은 없을 거라던 오이디푸스의 대사가 참 와닿았다.

<안티고네>는 2년 전에 개봉한 동명의 영화를 보고서 그리스 신화를 찾아 읽은 후 알게 됐다. 해당 영화 속 인물들을 모두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의 이름을 차용했는데, 난민 문제로 엮었다는 특징이 있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영화 속 인물들에 대한 설정 자체가 거부감이 일어서 좋게 보진 못했다.
그렇게 한 번 접했던 내용을 자세하게 읽게 됐다. 순수하게 오빠의 장례를 치르고 싶었던 안티고네와 폴뤼네이케스의 행실로 인해 장례를 금지한 크레온의 대립이 주된 내용이었다. 안티고네는 그저 순수한 마음으로 오빠를 묻은 것이었지만, 크레온의 입장에서는 안티고네가 범법자를 옹호한 것이었다. 심지어 법을 어기면서까지 말이다. 그런 이유로 크레온은 안티고네에게 처벌을 내리게 되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너무 가혹한 방법이었다. 아들 하이몬까지 와서 말렸지만, 크레온은 자신의 고집을 꺾지 않았고, 그로 인해 여러 사람의 죽음을 받아들이게 된다.
이야기가 비극으로 향하기 위해서 크레온은 자신의 뜻을 꺾지 않은 것이었지만, 인간적으로는 아들까지 와서 부탁을 하는데 외면한 그가 똥고집을 부렸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비극이 일어난 거라 느껴졌다. 크레온을 보면 인과응보였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

<아이아스>와 <트라키스 여인들>은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된 이야기인데, 역시나 비극으로 향하기 위해서는 어떤 장치가 필수적으로 포함된다는 걸 느꼈다. <아이아스>에서는 여신 아테네로 인해 비극이 일어났고, <트라키스 여인들>에서는 좋은 의도로 알고 한 일이 알고 보니 좋지 않은 결과를 낳았다는 게 그랬다. <오이디푸스 왕>에서 그런 장치는 신탁이었을 테고, <안티고네>에서는 크레온의 고집이 아니었을까 싶다. 장치들은 적절히 활용되어 비극으로 가는 길을 열었다는 점이 마음에 남았다.

읽기가 조금 힘들긴 했지만 그래도 이해하면 나름 재미있는 내용의 이야기들이었다. 고전 중의 고전인 이런 책들을 종종 읽어야겠다 싶다.


​​​​​​​

오이디푸스 이제 나는 신에게 버림받고, 경건치 못한 자식으로, 불운한 나를 낳아 준 바로 그분들과 함께 자식을 낳은 자로다. 불행보다 더한 어떤 불행이 있다면, 그것을 오이디푸스가 만났도다. <오이디푸스 왕> - P106

안티고네 나는 오빠의 시신을 묻겠어. 이 일을 하다가 죽어도 좋아. 누이로서 그의 곁에 누울 거야, 오빠의 곁에, 경건한 일을 하고도 범죄자가 된 채. <안티고네> - P125.1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