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그다드의 프랑켄슈타인
아흐메드 사다위 지음, 조영학 옮김 / 더봄 / 2018년 6월
평점 :
절판



매일매일 폭탄 테러가 일어나는 바그다드에서 폐품 업자로 일하는 하디는 어느 날부턴가 테러 때문에 사망해 조각난 여러 시신들을 모아 온전한 사람 형상으로 만든다. 누군가의 팔, 다리, 손가락과 발가락, 코 등 여러 사람의 시신 조각을 주워 꿰맸기 때문에 하디가 만든 시신은 인종과 종교를 아우르는 묘한 형체가 됐다. 그는 조각나 버려진 시신도 엄연한 사람이라는 생각에 이렇게 하면 장례를 치러주지 않을까 싶은 마음에서 이 일을 시작하게 됐다.

노파 엘시바는 딸들이 이민을 간 이후에도 고향 바그다드를 떠나지 않는다. 교회 신부님의 핸드폰으로 딸들이 이따금 전화해 그곳에서 벗어나 평화로운 곳에서 살자고 설득하지만 엘시바는 집을 떠날 생각이 전혀 없다. 아주 오래전에 붙잡혀 군대로 가서 소식이 없는 아들 대니얼이 돌아오기만을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잡지사 기자 마흐무드는 언제나처럼 하디의 의미 없는 이야기를 듣는다. 허풍쟁이이자 거짓말쟁이 하디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기사로 쓸만한 것은 아니어도 재미는 있었다. 여느 때와 다름없던 날, 하디는 자신이 창조해낸 "무명씨"에 대해 말하기 시작했다. 거리에서 시신 조각을 주워 온전한 한 사람의 모양으로 만든 시체가 어느 날 갑자기 사라졌다는 믿지 못할 이야기였다.




전쟁을 빼놓고는 일상을 이야기할 수 없는 바그다드를 배경으로 한 이 소설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인물들은 저마다 상처를 가지고 있었다. 무명씨를 창조한 하디는 동료를 테러로 잃었고, 엘시바는 전쟁에 끌려간 아들의 소식을 오랫동안 듣지 못했다. 고향이자 터전에서의 삶은 상실과 슬픔으로 점철되어 있었다. 하디, 엘시바와 같은 사람들은 매일같이 새로이 생겨나고 또 생겨났다는 점에서 끊이지 않는 고통이 이어졌다.
그런데 이 상황을 하디가 약간은 우스꽝스럽게 만들었다. 폭탄 테러로 산산조각 난 사람의 시체를 모아 온전한 하나의 형태로 만들 생각을 한 것부터가 기이했다. 같은 인종끼리만 모아 기워 만든 게 아니라 다양한 인종으로 사람을 만들었다는 것은 여러 인종 간의 평화를 상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조각난 시신과 그 조각들을 모아 꿰맨 사람 형체의 무언가도 인간답게 대접해 줬으면 하는 바람이 담겨 있었다.

하지만 무명씨에게 인격이 생겨나면서 그는 복수를 위해 살아가고 움직이기 시작했다. 조각난 각 신체 부위를 위한 복수였기에 죽음은 끊임없이 이어졌고, 복수가 완성된 후 신체 조각이 떨어져 나가 무명씨 역시 무너지고 있었다. 존재하지만 스스로를 위해 존재한다고 볼 수 없는 무명씨의 행보가 조금은 안타까웠다. 그의 의식 속에 들어갔던 경비원 하시브가 가여웠고, 엘시바는 인지하고 있었으나 그저 믿고 싶었기에 무명씨를 아들로 여겼던 마음도 안쓰러웠다.

신체를 기워 만든 프랑켄슈타인이라는 설정이 흥미로워서 읽게 된 책이었고, 의미도 있었으나 재미는 없었다. 익살맞은 블랙 코미디라는 추천글이 있었는데 대체 어디가 익살맞았던 건지 당최 모르겠다. 거기다 하디와 엘시바, 잡지사 기자, 군인까지 등장해 각자의 이야기를 하고 있어서 다소 정신이 없었다. 무명씨와 연관되어 있다는 공통점은 있었지만 굳이 필요한 캐릭터가 아니었던 사람도 있었다.
읽다가 내 취향이 아니었다는 걸 깨달았을 때 그만 읽었어야 했는데 왜 끝까지 읽게 됐는지 모르겠다.

이 책을 읽고 나니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이 궁금하다.

자기가 여러 피살자들의 신체부위를 모아놓은 것에 누군가의 영혼이 들어오고, 거기에 다시 누군가가 이름을 붙여주어 이토록 기이한 존재가 완성되었다는 얘기다. 그런데 그들은 복수를 해야만 편히 잠들 수 있다고 생각하는 희생자들의 조합이므로 복수가 필연이다. - P140

"삶이 퍽퍽한데 집이 있은들 뭐합니까? 어디나 두려움, 죽음, 불안, 범죄가 가득해요. 사람들은 서로 의심스러운 눈으로 노려보고, 잠을 자다가도 악몽에 놀라 화들짝 깨기 일쑤죠." - P2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