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이별 - 김형경 애도 심리 에세이
김형경 지음 / 푸른숲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래전에 지인을 따라서 소위 ‘점집’이라는 곳을 다녀온 적이 있다. 별다르게 궁금한 일이 있다거나 묻고 싶은 사연이 있는 것도 아니면서 순수하게 그저 호기심 반, ‘어디 뭐라고 하나 보자’ 하는 장난스런 맘 반이었다. 하지만 자신을 스님이라 칭하는 점보는 사람 앞에 자그마한 책상을 마주하고 앉자 갑자기 눈물보가 터진 듯 마냥 터져 나오는 오열에 당황스럽기만 했다. 난생 처음 보는 사람 앞에서 몇 마디 이야기도 나누지 않고 그저 울고 있는 자신이 스스로도 의아하게만 생각되면서도 도저히 울음이 그치지가 않았다. 그렇게 약 한 시간쯤을 울다가 인사하고 나온 기억은 오랫동안 내 마음에 의문점을 남긴다. 이렇게, 저렇게 생각해 보아도 도무지 이유가 떠오르지 않으니 난감할밖에.

그 때의 기억이 김형경 작가의 [좋은 이별]이란 책을 선택하게 했다. 그리고 새삼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아 그때, 나의 무의식 저 밑바닥에는 제대로 애도하지 못한 이별의 상처가 웅크리고 있었나보다’ 하고 말이다.

지인을 따라서 가게 되긴 했지만 그전까지 마음속으로 비웃기만 하던 ‘점집’을 찾아 전전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해도 생긴다. 그 사람들은 다 ‘치료사’가 필요한 것이다. 자신의 아픈 영혼을 찾아내 치료해줄 마음의 치료사. 우리나라 사회의 통념상 ‘정신병원’에 대한 그릇된 이미지와 함께 결코 만만치 않은 금전적인 압박도 사람들을 심리 치료사를 찾기보다는 ‘점집’으로 향하게 하는 커다란 요인이랄 수 있겠다.

김형경 작가의 애도 심리에세이인 [좋은 이별]은 소설가가 쓴 책이라서인지 비슷한 종류의 다른 책들에서는 주로 임상 경험의 실제 사례를 제시하고 치유 과정을 설명한 것에 비해 소설이나 그 밖의 책에서 사례를 인용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작가 자신의 경험을 밝히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전에 작가의 소설 [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을 읽으면서 작가가 단순히 소설을 쓰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는 정도를 넘어서 본격적으로 심리학을 공부하지 않았을까 짐작했었는데 ‘역시나‘ 하는 마음이 든다.

살아가면서 늘 일상 속에서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다독여주고 위로해 주는 것, 그래서 다시 똑바로 서서 앞을 향해 걸어갈 수 있도록 힘을 주는 것, 이런 것들을 위해 우리는 김형경 작가의 책을 읽는다. 우리 삶 가까이에 김형경 작가가 있다는 것은 축복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